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4년간의 강연, "언어의 줄다리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강연 내용을 조금씩 깁고 더해보고,

 그렇게 책이 나오기까지.4년이 걸렸다고 한다.
"페이스 북"에 올렸던 "언어의 줄다리기" 원고를 좀 내보라는

 대학 동기의 출판 제안을 받는다.

글쓰는 일을 좋아하는 작가 (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가

 글을 써가는 과정이 너무 재미있었다고 말하는 이 책은.
책만 써내려가는 것에 대해 신문기사, 문서, 통계자료 등을 첨부했다.

재밌게 책을 만드는 사람만큼 책이 유익해 지는 건 당연하다.




차례에서 보여지는 , 언어 중에서도 특히  〔 미혼과 비혼의 줄다리기 〕 가 가장 흥미로웠다.


이 부분을 중점으로 느낀 건 읽으면서 참 내가 고민했던 단어의 뜻을 똑같이 고민한 사람들도

있었겠구나 하는 것이다. 이력서를 쓸때, 미혼과 기혼을 표시하는 난이 있다.


그런데 20대 때는 아무렇지 않은 그 칸이 30대가 된 지금은불편해진다.

그 칸을 입력하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때도 있었다. 30대가 넘었는데, 물론 아직은

결혼을 늦게 하는 경우가 많으니 그렇다고 넘어갈 수 있지만, 사회 생활을 하면서

다른 회사로 이직할때 이 결혼 여부는 좀 걸린다.


내가 결혼했는지.안했는지에 따라 이력서를 보고는 면접질문이 달라질수도 있고,

입사 후에 질문도 자주 그 방향으로 흘러가기 쉽기 때문이다.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느낌도 들기도 한다. 



말이 다른 쪽으로 흘렀지만, 이렇게 기혼과 미혼에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뭔가가 있다.

사회적인 통념과 인식때문이 클것이라생각한다.

책에서는 『 결혼에 대한 관습적인 세계관 』 , 이라 설명한다.

그렇다.책에서 쓰인 이 단어가 딱 두 단어를 설명했다.


책에서 쓰인 도표를 보지 않아도 결혼에 대한 인식은 많이 변화했다. 남성보다 여성이 결혼하면 
잃는게 더 많다. 난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그런데 통계에서도 그렇게 말하고 있엇다. 
지난  18년간 조사 시점과 무관하게 여성이 남성에 비래 결혼 선호율이 낮다.








기혼에서의 이혼도 인식이 달라진다. 한번 결혼에 끝까지 

한사람과 가야 한다는 인식이 사라져가고 있는 것이다.

마음이 맞지 않거나 이유가 있어도 참고 산다는 말은

 더이상은 이유가 되지 않으며, 사람들도 그 이유에 대해 흠으로 

보지 않는다는 반증이다. 





세상의 사람들을 기혼 미혼으로 나누는 세계관에 의문을 제기할 수 밖에 없다. 

비혼, 돌싱 이라는 신조어가 나온지 오래고,

누구나 쓰는 단어가 되었다. 미혼과 기혼에 대한 생각 자체가 달라지는 이때, 

굳이 이력서 칸에 적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아니면 (비혼, 돌싱) 처럼 더 자신의 상황을 자세히 적으라는 회사나 이력서가

 나타날지도 모르겠지만,.자주 사용하지 않는 단어는

도태되고, 사라지기 때문에 세계관이 달라지면 자연적으로 

기혼, 미혼에 대한 인식도 달라질 것 이다.


단어 하나에서 파생되는 개인들의 생각이 다 다르다.

 그리고 그 주제어에 따라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생각에 성격까지 알수 있다.

언어의 주인인 국민이 이 같은 단어를 바꿔야 한다고 말하는 작가의 글 처럼

 "언어"를 쓰는 대한민국 사람에게 꼼꼼히 살펴 볼수 있는 

언어 공부가 될것 같은 책이다. 유익한 부분과 그동안의 그 단어에서 

느껴지는 자신의 생각도 확인해 볼수 있는 시간이 될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