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109세 찰리에게 배운 것들
데이비드 본 드렐리 지음, 김경영 옮김 / 동녘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임과 워싱턴 포스트에서 정치와 국내 정세에 대한 글을 쓰던 언론인이 우연히 만난 찰리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깨닫고 세상과 나누고자 쓴 책.


사람이 한 세기를 넘게 산다는 것만으로도 신비로운데 그보다 더 오래 산다는 것은 숨만 쉬어도 철학이 쌓일 것 같은 생각이 들어 가슴이 벅차다. 이 책이 그런 찰리의 이야기다.


저자가 세 딸들에게 환상과 모험 가득한 이야기를 지어 주려던 작가의 상상력에서 튀어나온 찰리일까?라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찰리와의 만남이 급작스럽게 시작되는데, 102세 가슴 근육을 움찔거리며 여자 친구의 차를 세차하는 찰리와의 만남이 강렬해 이야기에 빨려 든다. 그리고 그런 매력 덩어리 찰리의 연대기와 함께 미국 역사를 관통하는 이야기를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삶은 긴 여행이며, 목적지보다 여정에서 배우는 것이 더 많다." 145쪽


MBTI로 보자면 극 S이자 P인 찰리의 즉흥적인 여행담을 보자니 어린 시절 꽤나 덜렁거리고 사고뭉치였던 내 모습이 떠올라 기부니 조쿠나! 모델 T를 타고 횡단 하고 빈털터리가 된 후 집에 가겠다고 감행한 철도 무임 승차는 동쪽이 아닌 북쪽으로 달려 실패로 끝났다거나 하는 찰리의 이야기는 빨려들어 헤어나기 힘들 지경이 된다.


181쪽, 계속하기로 하다


모든 것에서 기쁨을 찾아 내는 찰리의 '즐거운 시간'들을 읽노라면 즐거워서가 아니라 즐겁게 만들어서 그렇게 되는 마법임을 눈치 챌 수 있다. 그리고 11초가 걸린 촉망 받던 아이스하키 선수 트래비스 로이보다 어쩌면 더 짧게 걸렸을지 모를, 내 목이 부러지는 시간을 돌이켜 보며 인생의 덧없음이라거나 이 거대한 시간의 진자 운동에 지나지 않는다고 짧게 설명하긴 어렵다.


찰리는 삶의 도전과 기쁨을 예측할 수 없고 그 순간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그는 다양한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잃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에 자신의 행복이 좌지우지되는 것은 옳지 않으며, 스스로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281쪽, 다음 단계로 나아 가다


이 책은 나이는 숫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통념을 확인 시켜 주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찰리를 통해 우리는 나이와 경험이 주는 깊이 있는 통찰을 배우고, 더욱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만든다.


특히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보다는 현재의 순간을 충실히 살아"라며 우리가 과거의 실수나 후회에 얽매이지 않고, 과거를 통해 미래를 꿈꿔야 한다는 깨달음을 준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