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를 떠올릴 때, 그의 글을 읽을 때 드는 인상은 복잡하다. <야콥 폰 군텐>에서의 화자는 도스토옙스키의 지하수기, 함순의 굶주림, 루쉰의 아Q를 떠올리게 만들다가도 현대성이라 부를 수 있을만한 것들이 깃들어 있는 듯 보인다. 현대 중에서도 특히나 요즘같이 이성적이고도 과학적인 사고방식, Yes정신이 저물고서 등장한 No정신이 보편화된 시기에서의 현대인이 지닐 법한 정신이 두드러진다. 공감이 가다가도 뭐지 싶은 문장이 불쑥 튀어나오고, 낮은 시선이 보이다가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람들에 대한 경멸감이 숨겨진 게 보인다. 의도한 구성인지, 무의식으로 쓴 글인지는 알 수 없다. 추측으로는 후자에 가까운 것 같다. 한편으론 낭만과 순종으로 가득했던 유년기를 지나 여러 경로를 통해 지독한 사회를 직시하게 됐고, 몸소 부딪히면서 진짜 삶을 맛본 청년이 생의 기로에 서서 갖기 마련인 솔직한 심정으로 비쳐 보이기도 한다.

<산책자>에 실린 그의 산문에서 알 수 있듯 그는 백치를 읽었고 백치에 매혹되어 스스로 백치가 되기로 작정했거나 그게 아니라면 진짜 백치 같은 사람일지 모르겠다는 생각도 든다. 어쨌거나 그의 삶은 굴곡으로 가득했고 마지막마저 극적이다. 아프리카로 떠난 랭보를 떠올리게 하듯 하인학교에 작별을 고한 주인공을 그렸었던 발저는, 끝내 세상이 견디기 어려워 제 발로 찾아간 정신병원에서 여생을 보냈다. 그리고 크리스마스 날 산책 도중 맞이한 눈 위에서의 죽음은 한 편의 동화 같다. 그는 아주 솔직했던 것 같고, 그래서 미워할 수 없는 사람이다. 내가 느낀 그는 부자가 되고 싶었었고, 가난을 혐오하다가도 그것을 긍정했고, 하인처럼 살았지만 스스로를 귀족처럼 대했었고, 사람을 싫어하고 좋아하기를 반복했고, 신을 의심하다가도 존중했고, 자연을 찬미하면서도 도시를 사랑했다. 여느 누구와도 다를 바 없이. 어쩌면 여기에 그의 위대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