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자신을 잃지 않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어려운 것인가를 이 책은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해야할 상황이 되었을때, 마치 짐승처럼 본능에 따라 움직일수밖에 없게 되었을때를 상상하면 소름이 끼친다. 아무것도 보이지않는 환한 우유의 바다에 빠져 그래도 살아남기위해 먹을 것을 찾아 헤매고 짐승처럼 아무곳에서 배설을 하며 비가 내려야 겨우 몸이라도 씻을수있다. 모두가 눈이 먼 나라에서는 수치라는 것도 더이상 찾을 수 없다. 그저 본능과 이기심에 뭉쳐 무리짓는 짐승들일뿐이다.

책을 도서관에서 빌렸을때도, 책장을 열기 전까지도 (심지어 책의 제목이 눈먼 자들의 도시'임에도) 내용에 관한 아무런 정보가 없었다. 한 남자가 차안에서 신호를 기다리던 도중에 눈이 멀게되고, 그를 집으로 인도해주고 그의 차를 훔친 사람이 눈이 멀게 된다. 첫번째로 눈이 먼 남자의 안과의사도, 그의 환자들과 간호사도, 첫번째 눈먼 남자의 아내도, 그렇게 도시의 한사람 한사람이 전염병처럼 우유의 바다에 빠지게 된다. 정부는 눈먼 자들을 수용소에 가둬두기로 결정한다. 의사의 아내는 자신의 남편과 함께하기 위해 눈이 멀었다는 거짓말을 한다. 의사와 의사의 아내, 첫번째로 눈이 먼 남자와 그의 아내, 자동차 도둑, 검은 안대를 한 여자, 사팔뜨기 소년, 검은 안대를 한 노인, 약국직원, 간호사 등등 이 소설에는 이름이 없다. 눈이 먼 사람들에게 더이상 이름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눈먼 작가가 말했듯이 나'라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나는 중간에 자동차 도둑이 다친 다리를 이끌고 군인들에게 호소하러 다가갔다 총에 맞아 죽는 것을 보고 책을 덮었었다. 앞으로 펼쳐질 상황을 상상하며 나는 끔찍해졌다. 그리고 다시 책장을 넘기는 것이 조금 힘이 들었다.

눈먼 자들은 열악한 환경의 정신병원에 수용되었으며 단지 식량을 제외한 어떤 도움도 받지 못한다. 그들은 더이상 인간적인 대접을 받지 못한다. 책을 읽어가면서 나는 로만 폴란스키의 피아니스트'가 생각났다. 몇년전 서울에서 지낼때, 가끔 디비디방에서 심야정액으로 영화 세편을 내리 보곤 했었다. 꽤 열악하게 지내던 시절이라 그것은 문화생활의 오아시스같은 한 방편이었다. 그때 이 영화를 봤었다. 피아니스트가 아무도 없는 게토의 한 집, 독일장교의 앞에서 2년만에 피아노를 연주하던 장면은 지금까지 잊을 수 없다. 인권이 철저히 무시됐던 그 끔찍한 상황을 기억하며, 길에 쓰러진 유태인의 다리위로 트럭을 몰고 지나가며 즐거워하던 군인들, 사람들에게 총을 쏘며 그 모습을 유희거리로 삼던 군인들을 떠올리며 나는 인간의 잔인함에 혀를 내둘렀다. 눈먼 자들은 점점 수가 증가했으며 수용소는 포화상태에 이른다. 그리고 이 작은 사회에서도 폭군은 나타난다. 무장한 깡패들은 식량을 점령하고 사람들에게 금품을 요구한다. 그리고 그들은 주머니를 불리게되자 이제 여자들을 요구한다. 수용소의 여자들은 남자들을 먹여살리기위해 깡패들에게 강간을 당한다. 그리고 한 여자가 그 폭력앞에 죽게 된다. 의사의 아내는 깡패의 우두머리를 가위로 죽이고 사람들은 단합해 그들에게 저항한다. 그리고 수용소에 화재가 발생하고 그들은 건물밖으로 도망쳐나왔다. 이미 그들을 지키던 군인들도 없다. 모두가 눈이 멀어버린 것이다. 의사의 아내와 그 주변사람들은 그녀의 도움으로 쉴 장소와 음식을 얻게 된다. 세상은 더이상 그들이 알던 곳이 아니다. 모두들 먹을 것을 찾아 한무리씩 이동을 했으며 길거리엔 오물과 역겨운 냄새들이 넘쳐났다. 죽은 사람들은 개들의 먹이가 됐다. 그들의 무리에 눈물을 핥아주는 개가 동참하게 된다. 의사의 집은 다행히도 사람의 침입에 안전했으며 그들은 그곳에 머물게 된다. 검은 안경을 쓴 여자는 검은 안대를 한 노인과 함께 하기로 약속한다. 먹을 것을 찾아 나섰다 시체들의 무덤을 보고 충격을 받은 의사의 아내가 몸을 쉬러 들어선 성당에서 보게된 광경은 내게도 끔찍했다. 신은 눈먼 자들을 보지 않는 것인가. 모두가 눈먼 가운데 혼자만이 모든 참상을 보아야만했던 의사의 아내. 사람들은 그녀를 의지했으며 그녀는 그들에게 책임감을 느꼈다. 자신의 남편이 다른 여자의 침대로 들어가는 것을 보면서도 그녀는 안스러울수밖에 없었다. 그녀가 스스로 눈을 찌르지않았던 것은 사람들에대한 책임감때문이 아니었을까. 그녀는 눈이 멀기를 바랬으리라. 모두들 다시 시력을 찾게되고 의사의 아내는 외로움에 눈물을 흘린다. 우리가 그나마 안도할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보여준 모습때문일까. 그녀마저 눈이 멀었다면 어떠했을까라는 생각을 잠시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