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하경아 옮김 / 큰나무 / 1999년 9월
평점 :
품절


한 인간이 또 다른 한 인간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무관심하거나

이해하려 애쓰다 지치거나 혹은 분노하거나

이해하는 척 하거나

이해받은 척 하거나

결국엔 그저 흐르는 물처럼 고요히 있는 것이

우리가 '이해'하는 방법들이 아닐까?

나도 내 안에 수많은 내가 있어 어쩔 수 없는데

또 다른 수많은 '나'를 가진 타인을 어찌 감히 이해할 수 있겠는가?

인간 사이에 건널 수 없는 그 외롭고 고독한 강을 어찌 감히 건너려하는가?

그저 소설 속 주인공처럼 용서를 구하고 쓸쓸히 웃을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밀을 위한 비밀
폴 콩스탕 지음, 염명순 옮김 / 문학동네 / 1999년 5월
평점 :
품절


                     여성이고 

                     동시에 여자이며

                     무엇보다도 인간이고

                     한때는 어린이였다가

                     또 덧없이 짧은 순간 소녀였다가

                     이제 숙녀가 되었으나

                     그저 늙어가고

                      누군가의 사랑이며

                      누군가를 사랑하는

                      누군가의 딸이며

                      누군가의 아내 혹은 정부

                      누군가의 어머니

                      누군가의 그 무엇인

                      나는 그리고

                      우리는

                      모두 그러하기에

                      비밀이 있다.

                      때로

                      혼자임에 슬퍼

                      비밀을 위한 비밀을 만들기도 하고

                      여럿이기에

                      비밀을 간직하며

                      함께임에 기뻐하여

                      비밀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것은 여성,여자인 동시에 인간이며 

                     한 때는 어린아이였다가 소녀였다가 숙녀가 되었으나 늙어가는

                      누군가의 사랑이며 딸, 아내 혹은 정부, 어머니

                      그리고 누군가의 무엇인 사람들의 비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즈
토니 모리슨 지음, 김선형 옮김 / 들녘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나는 재즈가 무엇인지 모른다. 
그러나 아마 재즈는 이런 것이리라.

앞뒤를 분간할 수 없고

혼란스러우며

인생이 그러하듯 비온 뒤 거리처럼 혼탁하고 지저분하나

마냥 미워할 수 없는 것, 

어딘지 모르게 측은하고 애를 끓이며 

눈물이 날 것 같은 

느리고 때로 빠른 

슬프고 아름다우나 

인간처럼 순백도 암흑도 아닌......

 

이 책은 결코 재즈에 관한 책은 아니다.

그러나 소설 속 인물들의 삶이,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아마 

재즈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4
J.M.G. 르 클레지오 지음, 김윤진 옮김 / 민음사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잘생긴 작자는 어떤 인간이길래 처녀작에서 이런 심오하고 난해하며 복잡하기 그지 없는 이야기를 늘어놓을 수 있는지..
내 사고의 폭은 왜 이리 좁고 얕은 것인지...
 

말하는 것이 두렵다.

낯설거나 낯선 사람 앞에서 나는 무엇을 입으로 쏟아내야 할지, 감각은 마비된 것 처럼 내부에서만 방황할 뿐이다.

그들이 내게 갖고 있는 선입견에 딱 들어맞지도 않는 그렇다고 나를 여과없이 드러내지도 않는, 적당히 평범하며 적당히 적절한 단어를 골라내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나는 왜 평범하게 이야기하고 보통처럼 행동하지 않을까?

나는 왜 타인에게 지나치게 소심하며 약간 이상하거나 특이한 사람인가?


인간의 언어라는 것은 어쩌면 가장 불완전할지도 모른다.

언어라는 표현수단에 길들여지고 익숙해진 우리는 그 불완전만큼 더욱 불완전해지고 익숙해지고 있는지도......

'언어'를 잃어버리면 좀 더 완전해 질 수 있을까?


'아담'의 말을 이해할 순 없지만 난 '아담'과 같은 꿈을 꾸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무도 없는 아니 모두가 있는 그곳에서 집을 짓고 정원을 산책하고

벽에 기대어 먹고 자고 배설하고 생각하고 울고 슬퍼하고 싶다.
모두가 나를 내버려두는 곳에서 아무도 나의 존재를 모르는 곳에서

조용히

가만히

머물러 있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벌루션 No.3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현대문학북스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너희들 세상을 바꿔보고 싶지 않니?

   "너희들은 공부를 잘 못해서 이 학교에 왔다. 그것은 전혀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다. 인간은 갖고 태어나는 재능이 있기 때문이다. 공부를 잘하는 사람, 운동을 잘하는 사람, 음악을 잘하는 사람,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 유감스럽게도 너희들은 공부하는 재능을 갖고 태어나지 않았다. 자 그렇다면 너희들은 과연 어떤 재능을 갖고 태어났을까?"
  또 잠잠한 침묵이 교실에 흘렀다. 닥터 몰로가 다시 말했다.
   "공부를 잘하는 놈들과 같은 판에서 싸워봐야 절대로 이길 승산이 없다. 게다가 잘 못하는 것을 억지로 계속할 필요도 없다."
  학급 회장인 이노우에가 반론을 펼쳤다.
   "그래도 세상을 지배하는 건 공부를 잘하는 인간들이잖아요. 그렇다면 우리는 죽을 때까지 그 인간들의 지배 하에 있어야 한다는 건가요?"
   "너희들이 공부 잘하는 인간들의 세계에서 살려고 하는 한 그렇겠지."
  닥터 몰로는 단호하게 말했다.
   "너희들은 무엇이든 한 가지의 재능을 갖고 태어났을 것이다. 그 재능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서 그 재능의 세계에 살면 공부 잘하는 인간들의 세계는 자연히 소멸될 것이다."
  여전히 교실에는 정적에 가까운 분위기가 맴돌았다. 모두 닥터 몰로가 한 말을 이해하려고 열심히 애를 쓰고 있었다.
  이노우에가 또 닥터 몰로에게 물었다.
   "만약 자기 재능을 찾아내지 못했을 때는 어쩌죠?"
   "그런 생각은 하지 않아도 된다. 찾고 찾으면 재능은 반드시 발견할 수 있다."
  닥터 몰로가 대답했다.
  이노우에가 끈질기게 물고 늘어졌다.
   "그래도 찾지 못했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죠?"
  닥터 몰로는 난감하다는 듯이 미간을 찌푸렸다.
   "그때는 공부 잘하는 인간들의 세계와 어떻게든 타협을 하면서 사는 수밖에 없겠지."
  교실 여기저기에서 새어나오는 한숨소리가 한 덩어리가 되어 체념의 분위기를 빚었다. 서서히 상황은 닥터 몰로가 교과서를 덮기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닥터 몰로는 그런 분위기를 일소하듯 낭랑한 목소리로 말했다.
 "너희들, 공부 잘하는 인간들의 세계에 산다손 치더라도 그냥 살아서는 안 된다. 유전자 전략으로 고학력자들이 떼지어 형성하고 있는 답답한 계급사회에 바람구멍을 뚫어야 한다."
  교실 여기저기서, 또 유전자야,란 야유에 가까운 소리가 터져 나왔다. 교실의 긴장감은 완전히 균형을 잃었다.
   "무슨 뜻이죠?"
  이노우에가 물었다.
   "공부 잘하는 인간끼리의 유전자 결합을 저지하면서 그 한 쪽에 너희들이 끼어 드는 것이다. 우등은 열등과 연을 맺어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것이 원래 자연계의 섭리다. 같은 성질의 유전자들끼리 들러붙는 사회는 언젠가는 반드시 무너진다. 피를 한 장소에 고이게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교실에 있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미 닥터 몰로의 말을 듣고 있지 않았다. 순신이 침묵을 개고 발언했다.
   "그러니까, 공부 잘하는 여자의 유전자를 획득하라는 말이죠?"
  닥터 몰로가 힘차게 고개를 끄덕였다.
   "오랜만에 공부 잘하는 유전자를 만난 너희들의 유전자는 기뻐 날뛰면서 전혀 새로운 유전자를 창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렇게 이 세상에 태어난 너희들의 아이는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너희들은 그것을 지켜보면서 죽을 수 있을지도 모르는 일 아닌가."
   "하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는데요."
  내 왼쪽 옆자리에 앉아 있던 가노야가 말했다.
   "우리는 공부 잘하는 여자들한테 인기가 없는걸요."
  닥터 몰로는 미간에 주름을 잡고 깊이 깊이 고개를 끄덕였다.
   "물론 그것은 어려운 문제다. 그리고 그 문제를 극복하는 데는 오직 한 자기 방법밖에 없다."
  닥터 몰로의 얘기를 끝까지 들은 놈들은 몸을 앞으로 쑥 내밀고 닥터 몰로의 말을 기다렸다. 닥터 몰로는 한마디로 답했다.
   "노력이다." 
 

이토록 통쾌하고 유쾌하며 명쾌한 이야기를 들어 본 게 언제였던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치맛바람의 왕국에 이 이야기를 읽어주고 이해시키면 그 바람이 좀 잠잠해지려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