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룩헤이븐 1 : 괴물들이 사는 저택 ㅣ 비룡소 걸작선 65
파드레이그 케니 지음, 에드워드 베티슨 그림, 김경희 옮김 / 비룡소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파드라이그 케니 (Padraig Kenny)는 아일랜드 출신 작가로 그의 첫 작품인 <로봇 하트>는 워트스톤스 서점 이달의 책에 선정되고 카네기상 후보에도 올랐다고 합니다.
이번에 읽은 <룩 헤이븐>은 총 두 권으로 된 시리즈인데요. 두 권 모두 아일랜드 아동 도서상 아너상을 받았습니다. 대단하죠?
파드라이그 케니 작가의 또 다른 책 <포그>와 <스티치>도 있다는데 그 내용이 궁금해지네요.
왠지 공포스럽기도 한 판타지 소설이라 매력적이기도 한데 그 안에 공포와는 다른 따듯한 감동이 있다는 얘기에 더욱 귀가 솔깃해졌습니다. 아름답고 매혹적인 호러 판타지라니! 안 어울릴 것 같은 단어들이 어루어진 판타지라 더욱 궁금하고 기대가 된 것 같아요.

괴물들이 사는 저택이라는데 과연 어떤 괴물들이 살고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어느 날 내가 평범한 세상이 아닌, 신비하고도 위험한 곳으로 보내진다면?
어릴 적 상상력이 가득한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이런 상상을 해봤을 거라 생각해요.
룩 헤이븐은 그런 상상 속 저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낯선 곳으로 오게 된 남매 톰과 젬. 그들에겐 미러벨과 그녀의 가족들이 있는 룩 헤이븐 저택이 낯선 곳이지만, 반대로 미러벨에게 톰과 젬은 이방인일 뿐이죠.
누가 제대로 된 상황이고 다른 누군가가 이방인일까를 구분 지을 필요는 없어요. 그저 서로 다를 뿐이니까요.

인간 사냥을 하려는 가족들과 그것을 반대하며 도와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미러벨.
인간들이 우리를 사냥했기에 우리도 해도 된다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사고방식. 그들은 이전에 어떤 핍박을 받으며 목숨을 건질 수 있었을까요?
"그래서 서로 간의 균형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언약을 맺은 거야. 우리도 그들을 건드리지 않고, 그들도 우리를 건드리지 않는다.
우리는 글래머의 테두리 안에 머문다. 그러기로 우리는 오래전에 인간과 협정을 맺었고, 그 합의 사항을 존중해야 해."
괴물이 산다고 알려진 저택 룩 헤이븐. 하지만 그곳에 있는 괴물은 괴물이 아니라는 생각이 이 책을 읽으면서 느껴졌어요. 괴물이라는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각자 나름의 사연과 감정을 가진 존재라는 것이죠.
괴물이 괴물이 아니었다는 점. 대체 누가 '괴물'이었던 걸까요?
서로 다름을 두려움이 아닌 이해와 수용으로 받아들였다면 보다 더 자연스럽고 활발한 교류 속에 살았을 텐데.. 편견과 선입견에 둘러싸여 배척받았던 존재들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청소년 아이들이 읽으면 좋을 판타지 소설이라고 생각했는데 어른들도 읽어보면 너무 좋을 책이에요. 많은 울림을 주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어쩌면 어린이들보다 어른들에게 더 필요한 이야기일지도 모르겠어요. 내가 이야기 속 젬이었다면? 미라벨이었다면? 이런 생각도 해보게 되고 말이죠.
저 괴물이 어쩌면 나의 모습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 부분들이 있어 섬뜩했습니다.

인간과 괴물을 떠나 존재하는 생명 그 자체로서 존중받아야 하는 존재들. 그들의 상처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의 서로의 연대감. 그리고 성장하는 삶 속에서 사랑스러움도 느껴볼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서로 이런 질문을 하게 될지도 모르겠어요.
"당신은 어떤 괴물과 닮았나요?"
1권 괴물들이 사는 저택을 읽었는데 2권도 빨리 읽어보고 싶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