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 The Old Man and the Sea 원서 전문 수록 한정판 새움 세계문학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헤밍웨이, 노벨상 수상 작가이며 모두가 그가 쓴 글을 격찬하는 가운데 내가 그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그가 좋아했다는 술, 모히또다. 지난날에 대한 반성과 함께 그렇기에 아무런 편견 없이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옮긴 이정서 씨는 그동안의 이 작품에 대한 번역들이 의역이 심한 부분으로 인해 제대로 된 이해를 돕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하였다. 그의 말대로 ‘god', 'christ' 등의 번역에서 이전과 같이 번역이 되었다면 노인에 대한 느낌이 사뭇 달랐을 것 같다. 물론 이전의 해석을 한 책들을 읽어보지 않은 나로서는 그 비교를 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인지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오히려 어떤 해석이었을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물론 이전에 이 소설을 읽었던 사람들은 나와 반대의 입장에서 비교하며 읽는 재미를 느꼈을 것이다.


헤밍웨이가 전쟁을 통해 겪은 경험으로 인해 자연과의 교감과 인간애, 인내를 이야기한다는 설명을 봤는데,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든 감정은 외로움, 지독한 외로움이었다. 고독을 자신이 천직이라고 믿는 일을 하면서 이겨내려 하는 노인을 느꼈다. 실제로 노인은 홀로 살고 있고, 혼자서 바다로 나갔다. 그는 바다, 고기, , 바람, 별 등을 친구처럼 연인처럼 여기지만 그가 말을 거는 상대와의 혼잣말, 그 자체로 그의 고독함이 더 짙어진다. 문득 나이가 들면 혼잣말이 많아지는데, 그 이유가 대화 상대가 부족하기 때문이란 이야기를 본 기억이 있다. 나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실제로 고시를 준비하겠다고 고시촌에 가서 음식점 주문 외에는 한마디도 하지 않은 시절에 혼잣말을 했던 기억이 있다. 그때의 감정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늘면서, 혼자 사는 내게 동료와의 대화가 꽤나 정신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가와 대화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위안이 될 수 있다는 느낌이 드는 요즘이다. 노인도 그런 감정이었는지, 때때로 그는 같이 오지 않은 소년이 그 자리에 함께 있기를 수없이 희망했다. 그에게 기쁜 상황이 생겼을 때도, 그에게 힘든 일이 닥쳤을 때도 노인은 소년에 대한 생각을 떠올렸다


한편으로는 그가 잡기 위해 사투를 벌인 고기를 친구로 여기며 무언의 대화를 나눈다. 어떤 경우에는 그와 운명공동체적인 존재로 여기는 게 아닌가 싶은 느낌을 받았다. 그를 잡기 위해 노력하면서도 그의 배고픔을 걱정하고, 그의 아픔을 걱정하고, 이율배반적인 상황은 결국 노인이 그를 잡으면서 끝이 난다. 그가 죽음에 이른 후에는 그제서야 노인과 함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의 끝은 그도 노인도 원하지 않았던 것이었지만, 노인은 그런 절망적인 끝에 이르렀음에도 외로움에서 벗어나게 된다.

 

어부를 천직으로 여기며 살아온 노인이 그가 꿈꾸는 것들이 바뀐 것을 통해 과거에 경험하고 느꼈던 자신감과 승리의 기쁨을 무의식적으로 이미 내려놓지 않았을까 싶다. 지독한 외로움은 소년으로 인해 벗어날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노인이 과거의 노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시간은 계속해서 흘러왔으니까...


※ 리딩투데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