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우스프라우
질 알렉산더 에스바움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안나 카레니나」 에 「보바리 부인」 과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를 섞은 작품
「하우스프라우」 제목의 의미는 '기혼여성' 또는 '가정주부' 라고 한다. 제목만 봐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예상하기 힘들었다. 예상할수 없어 더욱 기대되는 책이었다. '「안나 카레니나」 에 「보바리 부인」 과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를 섞은 작품' 이라는 소개글도 나의 기대감을 한껏 부풀게 했다.
주인공 안나는 평범한 가정주부이다. 은행원인 신랑을 따라 스위스로 이사해 살아가지만 삶이 그닥 즐겁지 만은 않다. 어린 아이들을 수발하며, 애정표현에 인색한 남편을 내조하며, 좋은듯 좋지 않은듯한 시어머니를 봉양하는 그런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녀는 스위스의 삶도 남편의 인색함도 지루하기만 하다.
정기적으로 상담을 받고있는 메설리 박사의 추천으로 독일어 수업을 듣게된 안나는 지나치게 소극적이었던 자신의 성격과는 달리 그곳에서 처음 본 낯선 남자에게 끌림을 느끼게 되고 자신도 모르게 설레인다. 수업이 끝난 후 그와의 격렬한 잠자리 이후 수업도 빼 먹으며 함께 하기도 한다. 평범한 일상의 일탈.. 결혼한 그녀의 일탈은 불륜이라는 표현이 맞을 듯 하다.
가정주부의 불륜하면 TV에서 흔히 보여주는 막장드라마 쯤을 떠올려 보겠지만 이 책의 느낌은 사뭇 다르게 느껴졌다. 불륜이라는 주제에 초점이 맞춰지기 보다는 (물론 내 개인적인 생각 이겠지만) 그녀의 내면의 이야기에 눈이 더 갔다. 남들이 봤을땐 평범한 한 가정의 괜찮은 아내로 보이는 그녀의 삶은 텅빔 그 자체였다. 소극적인 성격 탓에 어디에도 쉽게 섞이지 못하고 삶 자체가 공허해 그 속 마음을 채우고자 다른 남자들을 만나는 듯 보였다. 물론 보는 사람의 해석에 따라 그녀의 삶이 더럽다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책의 표현들이 더럽게만 느껴지진 않았다.
적나라한 표현에 가끔은 얼굴도 붉히며 때론 가슴 졸이기도 했다. 마치 그녀의 삶을 엿보듯 천천히 소설을 읽어가며 내 삶은 지금 어떤 상태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오랜 결혼생활로 서로에게 너무 익숙해져 남들에게도 하지 않는 실수를 하기도 하지만 때론 이 익숙함이 편안함으로 다가오기도 하기에 평생을 함께 하며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다행히 지금의 내 삶이 그녀만큼 지루한 삶은 아니기에 좀더 긍정적인 생각들을 할 수 있는 거겠지만 덕분에 삶을 잠시나마 되돌아 볼 수 있어 좋았다.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