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따뜻한 과학, 적정 기술 - 동화로 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뜻한 기술이 가져오는 행복한 미래와 재미난 공학 공부가 되고 상식이 되는! 시리즈 6
이아연 지음, 박선하 그림 / 팜파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술에 '착한 마음' 이 담기면 어떤 모습이 될까?


어린이를 위한 따뜻한 과학, 적정 기술」 이 책이 아니었다면 모르고 지나쳤을 '적정 기술' 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던 책이었다. 첨단 기술과 공학이 발달되고 있는 지금 도대체 적정기술이 왜 필요한건지 아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첨단 기술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란 걸 알게 되었으며,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기술에 착한 마음이 더해진 적정 기술이 필요한 이유들도 알 수 있었다.


'적정 기술' 이란 그 기술이 사용되는 사회 공동체의 정치적, 문화적, 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서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기술이다.

인간 삶의 질을 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22쪽- 

책에 소개되는 이야기들을 통해 적정기술이 뭔지 개념을 정리할 수 있었으며, 적정기술이 어떤 것들인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을 읽기 전 단어조차 낯설었던 것과 달리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쉽게 활용 할 수 있으며 지구를 생각한 사람의 마음이 담긴 그런 기술이란 걸 아들녀석도 조금씩 이해한 듯 했다.


아들녀석과 책을 보던 중 환경을 지키는 적정 기술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오호(ooho)' 라는 걸 보게 되었다. 최근 아들녀석이 유투브를 통해 알게된 거라며 꼭 한번 만들어 보고 싶다고 했던 것 중 하나라 크게 관심을 보였다. 페트병이나 종이컵을 쓰지 않고 바로 먹을 수 있는 물방울 즉 먹는물병 이라고도 하는 데 이걸 만들수 있는 재료와 방법도 소개되고 있어 무척 좋아했다. 뿐만 아니라 겨울이면 늘 사용했던 할머니가 만들어주신 팥손난로도 적정기술 중 하나라며 우리 할머니 대단하다며 한참을 웃었다.


적정기술이란게 단어만 몰랐을 뿐 생각보다 거리감이 없다 느껴졌다. 주위를 둘러보다보면 손쉽게 한두가지 정도는 찾아볼 수 있을 듯 하다. 혹여나 지금 이순간 100% 다 이해하지 못했더라도 적정 기술 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으니 더 많은걸 찾아봐야겠다.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