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마일리스 드 케랑갈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6월
평점 :
한 인간의 심장, 한 인간의 생(生), 그것이 다른 생명으로 이식되는 과정을 담은 24시간의 치열한 기록!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제목을 통해 받은 첫 느낌은 조금은 잔인한 성형외과적인 시술을 하는 그런 공포물쯤? 을 떠올렸다. 소개글을 읽는 것 만으로도 이 책이 어떤 내용일지 예상해볼 순 있지만 그보단 제목을 통해 상상해보는 것도 나름 재미있는 듯 하다. 내 예상과는 많이 빗나간 내용이었지만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했던 책이었다.
주인공 시몽 랭브르의 나이는 고작 19세이다. 이제 막 어린티를 벗어내고 성인이 된 꽃다운 나이에 사고로 인해 뇌사판정을 받게된다. 시몽 랭브르의 외적인 모습은 쿵쾅대는 심장, 들쑥날쑥 호흡하는 폐, 사후경직이 진행되지 않은 부드럽기만 한 피부, 부모의 눈엔 여전히 살아있는 듯 보이지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죽은 상태인 것이다.
뇌사판정.. 가족에겐 비극적인 일이지만 누군가에겐 작은 희망이 될 수 있다. 내 자식의 죽음이 안타까운 부모의 관점과 달리 소생의학과 의사인 피에르레볼의 관점은 사뭇 다르다. 가족들에게 죽음을 이야기 함과 동시에 장기기증을 떠올리며 어떤 타이밍에 가족들에게 장기기증을 이야기 할지를 고민한다. 뇌가 죽은 상태일 뿐 다른 장기들은 누군가에겐 희망이 될 수 있기에...
하지만 가족들은 뇌사상태에서 깨어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떠올릴 뿐 누군가에게 가족의 장기를 나눠줄 생각따윈 하지 않는다. 코디네이터가 그런 말들을 꺼내기 전까진.
나또한 두 아이의 엄마이다. 자식의 죽음을 보며 내 자식이 아닌 누군가가 살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자신이 없는 그런 평범한 부모이다. 하지만 내 아이가 기증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라면 다른 사람의 죽음이 안타깝기만 할까? 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다. 현실에선 경험해 보고 싶지 않는 입장들을 책을 통해 접하며 가슴아픔과 안타까움.. 다양한 감정들을 느낄 수 있었다. 소름끼칠만큼 가슴이 먹먹해진다.
장기기증을 선택하는 가족들의 상황을 책을통해 알게 되면서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란 생각이 들었다. 내 눈앞에서 멀쩡하게 숨을 쉬는 내 가족의 모습을 보며 죽었다는 결론에 이르기까지 힘들텐데.. 장기기증을 결정하고 서류에 싸인을 하며 수십번 수백번 마음속으로 자신의 결정이 옳은지 고민했을 텐데..
나 자신이 이렇듯 건강하게 살아있음에 감사하며 꼭 한번 읽어보라 권해주고싶다.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