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임에 빠진 아이들 - 방승호 선생님의 마음톡Talk 심리상담
방승호 지음 / 상상채널 / 2017년 3월
평점 :
"부모와 아이, 게임으로 소통하다."
게임 해도 괜찮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할 뿐이야.
초등학교 5학년 아들녀석은 다른 아이들처럼 게임을 좋아한다. 왠만한 게임들은 나의 도움 없이도 계정을 만들고 즐길 수 있을만큼 관심 또한 많다. 아들녀석이 게임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건 초등학교 4학년때이다. 밖에 나가도 놀 친구들이 없다는 걸 느끼기 시작하면서 방과후 집안에 틀어박혀 컴퓨터 게임을 하기 시작했고, 고학년이 되면서 스마트폰이 수중에 들어오자 친구들과 게임을 하며 보내는 시간이 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아들에게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게임중 말을 걸면 화를 내거나 아예 듣지 못하는 일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때혼 사소한 일에 격하게 흥분하는 일들이 잦아졌다. 그제서야 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고 「게임에 빠진 아이들」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게임을 하는 아이들을 고운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았던 당시 방승호 선생님은 게임을 통해 아이들을 학업으로 끌어들이는 방법을 고민하셨다고 한다. 그저 게임은 학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안좋은 것 이라는 인식이 강한 시기였지만 그 아이들의 강점을 키워주기 위해 노력한 결과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고 그 결실을 책 한권을 통해 독자들에게 이야기해주고 있다.
공부에 관심없는 학생들이 모인 학교!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많은 학교! 그런 학교에 선생님은 PC방을 만드셨고, e-스포츠 학과를 만들어 아이들의 재능을 키워주셨다. 인문계 학교에 다녔다면 졸고있을 수업시간이지만 학교 PC방에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눈빛은 초롱초롱 빛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인근 중학생을 대상으로 '게임 과몰입 치유 및 재능개발 프로그램' 을 진행했다. 게임에 등장하는 영어 단어를 공부하고, 게임 글쓰기도 도입했다. 게임 캐릭터를 이용한 인문학 공부 뿐만 아니라 모험놀이 상담도 진행했다고 한다. 그 결과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욕이 사라졌고 지각하는 학생도 없었다고 한다. 선생님이 가장 의미를 둔 부분은 게임중독이라 여겨졌던 학생들이 검사결과 '일반 사용군' 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이라고 하셨다.

게임에 대한 접근 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자신들의 꿈을 찾을 아이들을 볼 수 있었으며, 그런 학생들의 재능을 발견할 수 있게 해준 선생님이 대단하게 느껴졌다. 그런 선생님이 쓰신 이 책을 통해 내가 아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해왔던 생각들과 걱정스러웠던 부분들에 대해 조금이나마 답답함을 풀 수 있었다. 심리상담 사례를 통해 아이들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 어떻게 하다 게임을 시작하게 된건지 그리고 게임에 빠지게 된건지 알 수 있었으며 아이들에게 접근하는 선생님만의 노하우들도 알 수 있었다.
게임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걸 이해하게 되었다. 중고등 학생들도 변화할 수 있다면 아직 어린 초등학생인 아들녀석도 변화될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더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 감사했으며, 이 책을 만나 아들과 함께 해볼 수 있는 활동들을 알게되어 감사했다. 좀더 아이와 많은 대화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으며 게임에 대한 나의 삐딱한 시선부터 바꿔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