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군 해녀와 신비한 복주머니 한국의 재발견 9
유순희 지음, 방현일 그림 / 개암나무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전통과 가치를 되찾아 한국인의 긍지를 일깨우는 한국의 재발견!


2016년 '제주 해녀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라는 기쁜 소식을 보며 아이들과 제주도 해녀 이야기를 나눴던 적이 있다. 당시 아무런 기계장치도 갖추지 않고 오직 사람의 힘으로 물속을 들락이는 제주해녀들의 모습은 과학이 발전 하는 모습과는 달리 퇴행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아마 「똥군 해녀와 신비한 복주머니」 이 책이 아니었다면 여전히 무식한 방법으로 해산물을 채취한다고 말을 하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들이 산소통을 차고 물질을 하지 않는 이유가 욕심이 생겨 자원을 남획 할지도 모른다는 염려 때문이라는 말에 그동안 해왔던 내 생각들이 참 어리석게 느껴졌다.


이혼한 엄마와 함께 생활하던 우솔이는 엄마가 1년간 베트남으로 출장을 가게 되면서 제주도 우도에 살고있는 할머니 집에서 지내게 된다. 늘 바쁜 엄마는 우솔이에게 소흘했고 우솔이는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했다. 그나마 우도에 와서 할머니와 소통할 수 있는게 다행인지도 모르겠다.


우솔이의 할머니는 한때는 상군 해녀였지만 오래전 다친 다리와 세월의 흔적탓에 똥군해녀가 되었다. 깊은 바다에 한번만 더 들어가 보고 싶다는 할머니는 늘 바다를 바라본다. 그러던 어느날 아솔이는 우연히 영등할망 돌하르방 근처에서 복주머니를 줍게 되고 남들에게 보이지 않는 영등할망의 모습을 보게된다. 자신의 복주머니를 돌려달라 말하는 영등할망에게 할머니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줄 것을 요청하게되고 그날 밤 할머니가 깊은 바다에 가려하는 이유를 알게된다.


영등할망의 도움으로 깊은 바다에 들어갈 수 있었던 할머니는 우솔이의 부탁에도 불구하고 한번만 더 물속에 들어갔다 오겠다며 우솔이의 청을 거절한다. 해가 지기전 영등할망의 물건을 돌려주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해 우솔이와 할머니는 위험에 처하게 되지만 다행히 석재엄마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하게 된다. 목숨을 구한 다음날 우솔이는 영등할망에게 물건을 돌려주고 영등할망과 함께 해산물 씨앗을 뿌리며 이야기는 끝이난다.


책을 통해 해녀들의 삶과 그 삶으로 인해 고질병을 앓는 모습 등 우리가 알지 못했던 많은 부분들을 엿볼 수 있었다. 자연을 벗삼아 욕심을 버리지 않기 위해 물숨을 경계하며 정직하게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을 보며, 제주해녀문화가 사라져 가는 점이 너무 안타까웠다. 힘든 노동으로 인해 점저 숫자가 줄어들고 있으며, 30대 해녀의 경우엔 손에 꼽을 정도라는 말에 곧 해녀의 모습들을 볼 수 없을거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