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에 강한 아이의 비밀 - 마시멜로 실험 이후 교육계에 가장 큰 파문을 일으킨 아이의 참을성에 대한 발견
스튜어트 쉥커, 테레사 H. 바커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라이프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껏 우리가 알던 아이들의 문제 행동, 참을성에 대한 생각은 모두 잘못됐다!"

아이를 괴롭히는 스트레스 사이클을 끊어내고, 안정감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는 법


큰 아이가 중학생이 되면서 초등학생때는 느끼지 못했던 스트레스를 엄청나게 받는듯 하다. 시험이 있다는 것 만으로도 부담감이 크다고 말을 하곤 한다. 그래서 시작된 학원생활은 부담감을 덜기 위해서였는데 지금은 더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듯 하다. 오후 5시30분부터 8시10분까지 학교 이외의 수업을 들으며 배고픔을 참아가며 공부하는 딸 아이를 볼때면 이건 아닌데 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불안함에 쉽게 그만두지 못하고 있다. 이 불안함은 딸아이의 불안함이아닌 내 불안함일 것이다.

 

딸아이는 1차고사와 2차고사를 보는 내내 한숨을 쉬고 짜증을 부렸다. 그 모습을 바라보는 나또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아이만큼은 아닐꺼란 생각에 참았다. 참았다기보다는 못들은척 했다는 게 맞을 듯 하다. 아직 어려서 그러나.. 아니면 사춘기가 시작된건가.. 사람들이 말하던 중2병인가.. 많은 생각들을 해보았다.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걸 알면서도 이정도의 스트레스는 이겨낼 수 있을거라 생각하며 애써 외면했다. 아마 「스트레스에 강한 아이의 비밀」 이책을 읽지 않았다면 난 끝까지 모른척 하며 외면했을 것이다.

 

자기조절법은 자신의 기분과 집중력에, 친구를 사귀는 능력과 공감하는 능력에, 아이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삶에 필요한 소중한 가치와 미덕을 개발하는 능력에 큰 변화를 주는 방법을 말한다. (14쪽) 자기조절법은 5단계 방법을 통해 (1)아이가 지나친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을 알아채고 (2)아이의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낸 다음 (3)스트레스 요인을 줄이며 (4)아이 스스로 대처가 필요한 순간을 자각하게 하고 (5)자기 조절 방법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15쪽)

 

아이 스스로 참아내기만을 바랬던 나와 달리 이 책은 아이가 스스로 대처가 필요한 순간을 자각하게 해 자기 조절 방법을 개발 할 수 있도록 도우라 말하고 있다. 아이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에너지를 가득채워 이겨낼 수 있도록 말이다. 내가 특히 주의깊게 읽은 부분은 제3부 유혹에 시달리는 10대, 압박에 시달리는 부모 였다.

 

진화속도와 적응속도가 달라서 생기는 불일치의 문제 때문에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고, 이는 정신적, 신체적 문제로 광범위하게 드러나고 있다 (261쪽)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이유없이 피곤하거나 집중하기 힘들다고 한다. 또한 늘 초초하고 불안하다고 했다. 미국의 7학년~12학년에 이르는 전체 학생의 90퍼센트가 이런 답을 했다고 했다. 자신들이 왜 그런 감정들을 느끼는지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두통,복통,수면장애를 겪기도 한다고 한다. 딸아이가 가끔 머리와 배가 아프다며 했던 말들이 나의 주의를 끌기 위한게 아닌 다른 많은 아이들이 겪는 현상이란 걸 알수 있었다. 열두살 무렵부터 폭발적 두뇌 성장과함께 신경계의 왕성한 성장, 신경망의 가지치기 등등 뇌의 대대적인 조직개편 중이며, 엄청난 성장 단계를 거치고 있는 있다고 한다. 실제 사례를 통해 상황들을 이해하기 더욱 좋았다.

 

이젠 커버려 통제가 힘든 아이들에 관해 많은것들을 알수 있었다. 살짝 어려운 설명들을 이해하기 힘들기도 했지만 지금 나에겐 너무나 큰 도움이 될만한 책이었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이야기도 읽어볼 수 있어 더욱 좋았다.  '부모들이 받는 다섯 가지 스트레스' 를 통해 내가 왜 아이들을 통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건지 생각해볼 수 있었으며 나의 육아 기준에 대해서도 좀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이제라도 아이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올바른 길로 이끌 수 있도록 도와줘야겠다. 아이들이 스스로 조절해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더욱 신경써야겠다. 물론 내 욕심에서가 아닌 아이들의 입장에서 많은 생각들을 하며 지켜봐야 겠다. 사랑을 입으로만 전하는 엄마가 아닌 마음으로 전할 수 있는 엄마가 되기위해 좀더 많은 노력과 이해가 필요할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