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별 부모와 외계별 10대의 동상이몽 - 고집불통 자녀로 속 썩는 부모들을 위한 소통 솔루션
손동우 지음 / 동아엠앤비 / 2016년 6월
평점 :
부모와의 소통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공부도 못하고 하고 싶은 것도 없는 10대 자녀 해설서
함께 살아가고 있으면서도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지구별 부모와 외계별 10대의 동상이몽」 제목을 통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책이다. 나또한 나의 아이들을 이해하기 위해 읽은 책이기도 하다. 특히 중학생인 딸 아이와의 관계개선을 위해 읽게 되었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10대라는 말을 들으면 내 아이는 너무 순해서 그렇지 않을거라 확신했었다. 하지만 중학생이 된 내 딸아이도 남들과 똑같이 어느순간 어떤 반응들을 보이며 어떻게 행동을 할지 전혀 예측할 수 없게 되었다.
'그렇게 착하던 딸 아이가 이럴줄을 몰랐다' 라며 신세한탄을 하게 될줄이야.. 단 한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것들이 딸 아이가 중학생이 되면서 시작되었다. 무슨 이유에서 화를 내는건지, 왜 엄마인 나에게 짜증을 푸는건지, 착했던 딸은 도대체 어디로 간건지 답답했다. 덕분에 많은 책을 읽기 시작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이유를 알고싶었고 다양한 책을 읽을때마다 나의 무지함을 느끼곤했다. 이 책 역시 아이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더 이해하고싶어 읽은 책이었다. 책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조금씩 알아가고 그 원인들을 알면 알수록 이기적이기까지 했던 내 행동들이 떠올랐다.
나또한 그시절 이유없이 짜증내며 부모님의 속을 썩이곤 했었는데.. 이젠 내가 부모의 입장이 되어 내 아이를 보며 답답하다며 큰소리치고 혼내고 있다 생각하니...너무 미안해진다. 딸 아이 자신조차도 자신이 그러면 안되는데 라고 생각하면서도 왜그런지 모르겠다는 말을 했었다. 중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 갑작스럽게 노출이 되면서 그 환경에 적응하느라 너무너무 정신이 없는데, 공부방법도 찾아야겠고, 새로만난 새로운 친구들과도 친해져야겠다며 이것저것 신경을 쓰다보니 급작스럽게 스트레스에 노출이 되어버린듯 하다. 워낙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라 앞에나가 발표하는 순간에도 자신이 눈을 둬야할 곳을 찾고있는 딸 아이는 점심을 누구와 먹어야 할지도 고민스럽다고 했다. 같은 학교에서 올라간 친구들이 몇명 되지 않아 모두 낯선 친구들 뿐이라 더 힘들어 했던것 같다. 여기에 새로 다니기 시작한 학원, 친한 친구라 생각했던 친구와의 트러블, 수행평가등 여전히 적응해야할 것 투성이다. 오후 8시 30분이 되어 집으로 돌아오는 딸 아이는 자신의 기운을 다 써버린듯 어깨를 축 늘어뜨리고 집에 오는 일도 많아졌다.이런 아이를 안아주기는 커녕 왜그렇게 풀이죽어 들어오냐며 화를 냈던 내 행동은 그야말로 아이에겐 최악이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마치 외계인과 같이 느껴지는 아이들의 마음속을 책을 통해 알수 있었다. 부모와 아이의 너무도 다른 기준들.. 거기에서 오는 의견 차이들.. 그리고 생각들.. 매일 살을 맞대고 살아가고 있는 부모와 자식임에도 생각의 차이가 컸다. 책을 통해 아이들의 생각을 알아갈수록, 그리고 부모인 나의 생각과 비교하면 할수록 차이가 크다는 걸 알수 있었다. 그런 아이들의 생각을 이해할수 있을 것 같으면서도 나도 엄마이기에 한편으론 속이 상하기도 했다. 나름 아이들에게 최선을 다 하고자 하는 마음 가득담아 하는 행동들이 아이들에겐 스트레스로 다가와 화를 유발하고 있다는 걸 알게되니 힘이 빠져버리는 듯 했다.
잘하면 인정하고 칭찬해 주고, 못하면 비난하고 평가하는 일은 이 세상을 살면서 우리 모두가 겪는 일이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굳이 세상에서 나와 가장 가까운 사람인 엄마까지 나를 심판하는 심판관이 될 필요가 있을까? (109쪽~110쪽)
감성적인 에세이가 아님에도 눈에 들어오는 글귀들이 무척이나 많았다. 그 글귀들 덕분에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고, 딸 아이와 나의 관계에 대해 좀더 많은 생각들을 할 수 있었다. 어느 한쪽의 잘못도 아닌 지금의 이 상황들을 대화를 통해 풀어나가야 한다는 걸 깨달았고, 아이의 입장에서 나의 입장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깊이있게 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또한 '마크쌤의팁'을 읽으며, 당장 내가 행동으로 취할 수 있는 부분들을 읽어보았다. 진심어린 선생님의 조언을 듣고 있는 듯 해 마음이 편해지는 듯 했다.
지금은 딸 아이와 학원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눠본 후 아이의 의사에 따라 학원을 계속 다녀야 할지 아니면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다른쪽으로 도움을 줘야 할지 결정을 내려야 겠다. 좀더 일찍 알았던 내용들임에도 이제서야 결정을 내릴 수 밖에 없었던 나의 고집을 이젠 한풀 꺽고 아이의 의사를 존중해줘야 겠다. 본인 스스로 결정한 학원이었지만 결론적으로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았으면서도 아니라고 말하는 딸 아이에게 한달만 더 일주일만 더 하자며 미뤄왔던 결론을 이젠 내릴 수 있을 듯 하다.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 노력해보지도 않고 힘들다만 외쳐왔던 고민들을 훌훌 털어버리니 한결 가벼워진듯 하다.
-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