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 가족
그레구아르 들라쿠르 지음, 이선민 옮김 / 문학테라피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가족보다 우리 자신을 더 꿈꾼 첫 세대, 개인주의 가족


"책이 지닌 파괴력이 얼마나 강력한지는 누구보다 잘 알면서도

내 주변에 있는 가장 사랑하는 이들을 지키는 방법은 제대로 알지 못했다."

「슬픔」_ 리오넬 뒤루아


이 책의 내용을 함축해놓은 문장이란 생각이 든다. 일곱살에 시를 쓴 에두아르는 문학적 소질을 인정받으며 가족들로부터 '천재'라는 말을 듣게 된다. 아홉살, 영재들 틈에 있지만 점점 감각이 떨어지는 에두아르는 '반짝 천재'라는 말을 듣게 되고 그 어린 나이에 신경쇠약을 앓게된다. 열번째 생일이 다가올 때쯤 에두아르는 기숙학교에 들어가기로 결정이난다. 물론 부모님의 결정이었다.


천재소리를 듣던 에두아르가 슬럼프를 겪고 더이상 글을 쓸수 없는 상황들이 된다. 마치 에두아르의 가족들이 행복한 시점에서 점점 금이 가고 있는 모습들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을증에 걸려 따로 살고있는 아빠에게 보낸 편지 "사랑해요"라는 한 단어.. 에두아르가 쓸수있는 유일한 한마디가 아빠를 다시 돌아오게 한다. 깡마른체 돌아온 아빠는 대대로 내려오는 가게를 정비하고 의욕적으로 살아갈 준비를 하지만 아빠가 돌아온 이후 엄마는 담배만 더 늘어가고 웃지 않는다. 곳곳에서 가족간의 삐걱거림이 들리는 듯 했다.


치매에 걸려 요양원에서 생을 마감한 외할아버지, 난청을 호소하며 귀가점점 들리지 않게되는 아빠, 더이상 웃지않는 여동생, 정신 연령이 다소 낮은 남동생, 그리고 줄담배를 피며 말을 하지 않는 엄마. 평범하지않은 그들의 모습을 보며 조만간 깨져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만큼 가족간의 끈끈함이라곤 찾아볼 수 없었다.


우연히 눈에 들어온 광고 문구를 보며 그 길로 들어선 에두아르.. 하지만 그의 부인인 모니크는 에두아르가 만든 광고 문구들을 이해하지 못한채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배우기위해 파리로 떠난다. 어느 한시점도 평온하다는 느낌을 받을수가 없었다. 매 순간 사건사건마다 삐걱거림이 들리는듯 했다. 카피라이터가 되고 다시 돌아온 부인을 받아들이지만 결국은 부모가 그랬듯 부인과 헤어지게 되고 여동생 또한 미혼모가 되어 홀로남게된다. 이 가족들의 문제가 뭘까.. 평범한듯 하면서도 제대로 맞지 않는 퍼즐을 맞추는듯 하다. 책이 막바지에 다다를때까지도 이 답답함은 풀리질 않는다. 하지만 아빠가 자신만의 세상을 만들고 사람들과의 소통의 끈을 놔버린 후 아무것도 알아보지 못하지만 단 한사람의 사진에 반응을 한다.


뭔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듯 하다. 어떤것들이 어긋났던건지 어디서부터 잘못된건지 콕 찝을순 없지만 아빠가 엄마의 사진에 반응한 이 순간 모든게 제 자리를 찾아갈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희망이 보인다. 또한 에두아르에게도 새로운 사람이 눈에 들어온다.


내 가족은 어떤 모습일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남에게 보이는 모습이 아닌 내 가족들이 느끼는 내 모습이 무척 궁금했다. 늘 볼통거리고 큰소리만 내는 그런 모습 외엔 떠오르지 않아 조금 민망하기도 했지만 조금은 익숙하지 않은 이런 책을 통해 내 가족 그리고 가족이 보는 내모습에 대한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다. 물론 반성도 해보았다 ^^. 이해 안되기도 했던 이 책을 통해 내 가족을 되돌아 보는 시간을 갖게된 것 만으로도 만족스러운 책이었다.


-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