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야기, 뭔데 이렇게 재밌어? 리듬문고 청소년 인문교양 1
콘덱스정보연구소 엮음, 이은정 옮김, 구시다 세이이치 감수 / 리듬문고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듬문고 청소년 인문교양 01


정치 이야기, 뭔데 이렇게 재밌어?

뉴스나 신문, 잡지등에 한자리를 차지하는 정치면은 눈이 잘 안가요. 이유는 하나! 모르기 때문이죠. 조금이라도 아는 분야의 이야기들이 나온다면 관심있게 보겠는데, 지루하고 따분하고 거기에 좋은 모습보다는 그렇지 못한 모습들이 많아서 안보게 되더라고요. 아이들과 함께 보기에도 낯부끄러운 장면들이 종종 등장해서 같은 어른으로써 조금 부끄럽다고 해야하나... 그런데 이제 곧 18살이 되는 딸 아이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진다고 하더라고요. 자신이 어디에 투표할지는 자신 스스로 결정을 해야하는데, 저 때문에 뉴스를 잘 보지 않는 딸 아이가 제대로 된 선택(?)을 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서요. 그래서 이 책을 선택했어요. 책 제목만 보고 정치 이야기를 재미있게 접할 수 있겠다 싶어 기대했는데, 조금 아쉬웠어요. 우리나라 정치 이야기가 주가 되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우리나라 이야기가 아니었네요.


그래서 어떤 내용인지 제가 먼저 읽어봤어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읽어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우리나라에 대해서 좀더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면 좋았겠지만, 적어도 이 책을 통해 다른 나라들의 역사와 정치제도에 대해 개념을 잡을 수 있었거든요. 어렵게만 느껴졌던 정치 용어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을 뿐만 아니라, 평소 귓등으로도 들리지 않았던 뉴스들이 아주조금 이해되기 시작했어요. 배경지식이 있어야 그만큼 보인다는 뉴스가 보이기 시작하니까 재미있다라고 느낄 정도는 아니지만 고개가 끄덕여 지더라고요. 대통령이 어떻게 선출되는지, 의원들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나라마다 달라 조금 헷갈리기도 했지만, 기억이 가물가물 할때마다 다시 읽어보면 된다는 생각으로 가볍게 읽다보니 부담감도 없고, 스스로 혼자이길 선택한 북한의 의외의 모습들을 알게되서 신기하게까지 느껴졌어요. 전 세계와 단절되 홀로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전세계 80% 이상의 국가와 수교를 맺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글자를 모르는 국민들을 위해 그림으로 정당을 표시해 버튼 하나로 투표를 할 수 있는 인도, 학비나 의료비 뿐만 아니라 집까지 무상으로 지급한다는 사우디아라비아왕국, 국회의원이 89명밖에 안되는 싱가포르공화국, 세상에서 가장 작은 국가인 바티칸 시국, 이름이 너무 길어 쉽게 기억나지 않는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등 다양한 나라들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가 제법 쏠쏠 하더라고요. 물론 학생들을 위한 책이기에 쉽고 재미있기까지 해요. 이 책을 읽는다고 전세계의 정치 이야기들을 모두 이해할 순 없겠지만 적어도 책에 등장하는 나라들에 대한 뉴스가 나올때면 조금더 귀를 쫑긋하며 뉴스를 보게될거 같아요.


책을 읽고 난 후에 두 아이들과 우리나라 정치 이야기를 조금은 편안하게 이야기 나눠볼 수 있을거 같아요. 비교할 수 있는 나라들을 선택해 우리나라와 어떤점이 같고 어떤점이 다른지를 이야기 하다보면 이전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되네요. 물론 우리나라 정치 이야기가 이런 책으로 나온다면 더 좋겠지만요. 아쉬움이 남으면서도 참 괜찮은 책이란 생각이 들어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라 권해주고 싶어요. 고학년 이상의 아이들이라면 관심있게 볼 수 있을만한 책이니까 꼭 한번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