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그림 - 대충 그럴싸하게 그리는 야매스케치
강수연 지음 / 생각정거장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이든 그리게 된다. 흔한 디자이너, 흔디가 알려주는 내 그림 자신 있게 그리는 법


오늘부터 그림

사춘기를 보내고 있는 딸아이와 다투는 일이 더 많은 시기이지만 그런 딸 아이가 내눈에 대단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다. 그건 자신이 생각한 모습을 있는 그대로 그림으로 그려낼 때이다.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3D 캐릭터 디자이너 등 다양한 꿈을 꾸며 크고있는 딸 아이는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알아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스스로 터득한 그림들은 나이가 들수록 세밀해지고 견고해졌으며, 대단하게 느껴졌다. 그런 딸 아이와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고, 같은 장소에서 서로 다른 그림을 그리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꿈을 꿔보곤 했다. 하지만 난 똥손이다. 컴퓨터도 제법 다루고, 집안 살림살이들도 내손을 거쳐 고쳐지곤 해 남들보다 괜찮은 손재주를 가지고 있다 느낌에도 불구하고 난 그림엔 1%의 재능도 부여받지 못했다. 배우고 싶지만 학원을 등록해 배워야 할 만큼 절실함이 없었기에 게으름을 부리며 그림 배우기를 미뤄왔던 내 눈앞에 이 책이 들어왔다. '대~~~~충 그럴싸하게 그리는 야매스케치'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하는 친구의 말로 시작된 '야매스케치' 그림교실. 4년째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친구에게 가르쳐주던 내용을 모아 한권의 책으로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책이 지금 내 손에 들려있는 이책이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엄청난 노하우를 알려주려 하기보다는 기본기 탄탄하고 자기 개성이 있으며 나만 만족하면 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해주고 있다.


일단 그리면 된다. 많이 그리면 된다. 다른 사람들에게 뻔뻔하게 보여주다 보면 어느 순간 익숙해진다. -6쪽-


어차피 취미이고, 그림을 통해 생계를 유지할 것도 아니고, 엄청나게 유명한 대작을 남기려고 그림을 그리는 것도 아니니 내가 만족스럽고 내가 즐길 수 있는 그림을 그리면 된다고 이야기 한다. 이 글을 읽고 나니 그림에 대한 부담감이 확 줄어든 듯 느껴졌다. 다시 생각해보면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그림을 그리려고 했던것도 아니었는데 왜 그렇게 그림에 대한 부담감이 컸는지 모르겠다. 부담감을 덜어내니 책의 내용이 더욱 즐겁게 다가오는 듯 하다. 그림을 잘 그리는 비법같은건 없다며 작가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냥 많이 꾸준히 그리면 그림 실력은 무조건 는다고 말한다.


스케치의 기본은 '선' 이라며 선을 다루는 방법을 이야기 한다. 그까짓것~ 이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나 역시 선이야 그냥 그리면 되지~ 라며 A4 용지를 꺼내들고 가볍게 시작했는데, 내 마음이 삐뚫어진건지 아니면 종이가 움직이는 건지 생각처럼 반듯한 선을 그리는게 쉽지 않았다. 가로선~ 세로선~ 대각선~ 반대편대각선을 그리며 절대 종이를 돌려서 그리면 안된다. 처음 그려보면 삐뚤 빼뚤~ 간격은 지멋대로에 팔도 아프고 지루하다. 나 역시 많이 그려본 건 아니지만 확실히 날이갈수록 나아짐을 느낄 수 있었다. 업무로 인해 복잡해진 머릿속을 비우기에도 더없이 좋은 활동이기에 꾸준히 도전해보고 있는데 복잡해진 머릿속도 잘 비워졌고 집중력도 커지는 듯 해 무척 만족스럽다.


작가의 노하우들을 알아가는 것도 재미있지만 이 책의 또 다른 재미는 '저는 이런 그림을 그렸어요' 를 통해 소개되는 작가의 그림들을 보는 것 이었다. 순간순간을 그림으로 기록하는 작가의 독특한 그림들을 볼 수 있었는데, 단순해 보이면서도 작가의 개성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이런 그림들을 보다보니 나도 내 인생의 순간순간을 그림으로 남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기처럼 남겨지는 내 삶의 한순간. 이런 그림들이 모여 나만을 위한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진다면 무척 기분이 좋을 듯 하다.


이젠 부담감을 덜어내고 내 멋대로 나만의 그림을 그릴 수 있을 듯 하다. 부담감 없이 나만을 위한 나의 그림을~ 나만 만족하면 되는 그림이기에 삐뚫어져도 못생기게 보여도 때론 손인지 발인지 구분이 안되는 그림이어도 상관이 없다는 걸 이제야 알게되었다. 딸 아이의 멋들어진(?) 그림과는 비교가 되겠지만 아이와의 공감대 형성에는 도움이 될듯 하다. 기초도 탄탄히 다지며 누가봐도 괜찮은데? 라는 말이 나올만한 수준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그날까지 나만의 그림을 즐기며 그리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