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친절한 경제상식 - 뉴스가 들리고 기사가 읽히는
토리텔러 지음 / 미래의창 / 201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을 읽는 힘이 되어주는 가장 친절한 경제 이야기


세상 친절한 경제상식

사회생활을 하며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경제상식! 하지만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경제 이야기를 알아듣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마치 자신들만 이야기 하고 넘어가겠다는 듯 전문용어들이 마구 쏟아지는 뉴스들. 이젠 많이 커버린 아이들과 함께 뉴스를 볼때면 왜그렇게 질문이 많은건지.. 아이들이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주고 싶지만 나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뉴스들이 많아 답답함을 느끼곤 한다. 다행히도 이런 답답함을 해결해줄 세상 친절한 책을 만났다. 니가 친절해봐야 얼마나 친절하겠어 라는 생각으로 책을 펼치더라도 이내 고개를 끄덕이게 될듯 하다. 어쩜 이렇게 쉽고 재미나게 설명을 해주는지.. 보통은 지루함에 중반쯤 읽다 그만둘 법한 경제상식책을 1독하고도 다시한번 훑어봤을 정도이니 말해 뭐하겠는가... 진짜 쉽고 재미있는 책이었다.


1 '경기'란 무엇인가?

[핵심 개념]

경기 : 경제의 상태를 말한다. 경기가 좋으면 생산과 소비가 촉진되고 취업률이 높아지며 복지가 늘어난다. 경기가 나쁘면 생산과 소비가 위축되고 실업률이 높아지며 복지가 줄어든다.

GDP(국내총생산) :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부가가치를 모두 더한 것이다. 그 나라의 국경 안에서 외국인이 생산한 가치도 GDP에 포함된다. 한 나라의 경제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면 인구와 부채, 1인당 GDP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경제주체 :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개인 또는 집달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경제주체로는 가계, 기업, 정부가 있다. 각 주체마다 처한 상황과 입장이 다르므로 경제 뉴스나 기사를 볼 때는 이에 유의해야 한다. -22쪽-

이렇듯 한 파트가 시작되기전 핵심 개념이 등장한다. 이 단락에선 어떤 이야기를 할찌 큰 테투리를 이야기 한 후 그에대한 세상 친절한 설명이 시작된다. 'GDP = 한 나라의 밥그릇의 크기' 나라안에서 만들어진 생산물을 모두 더한 것이라 한다. 밥그릇의 크기가 클 수록 사람들이 충분히 먹을 수 있으며, 한 나라의 경제력을 나타내는 대표 수치로 자주 사용 된다고 한다. 동일한 GDP를 가진 두 나라가 있다는 가정 하에 인구가 10명인 나라와 100명인 나라가 있다고 한다면 10명인 나라의 사람들이 1인다 더 많은 밥을 먹을 수 있으며 이를 1인당 GDP 라 말한다. '경제성장률 = 밥그릇 크기의 증가율' , '부채 = 남에게 줘야 하는 밥의 양' , 이해가 안될래야 안될 수 없는 설명들로 한번만 읽어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들이었다.


[ 차 례 ]

1. '경기' 란 무엇인가? / 2. 금리는 경제적 행동의 신호등 / 3. 먹고살기의 난이도, 물가

4. 부동산은 사는Live 곳이자 사는Buy 것 / 5. 현실 속 던전, 주식시장

6. 무역의 기본은 환율과 관세다 / 7. 경제주체의 눈으로 보는 우리 경제 

차례를 보면 알 수 있든 경기의 흐름에 관한 것들부터 시작해 금리, 물가, 부동산, 주식, 환율 등 다양한 내용들을 배울 수 있으니 남녀노소 누구나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중고등학생인 두 아이들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만큼의 난이도 이기에 이번기회에 함께 읽어봐야겠다. 특히 질문이 많았던 아들녀석에겐 더없이 좋을 책이기에 따로 한권 마련해줘야겠다. 내가 미처 설명해 주지 못했던 것들을 함께 보며 이야기 나눠본다면 아이에게도 나에게도 큰 공부가 될 수 있을것이기에 꼭 함께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