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말싸미 맹가노니 - 이야기의 탄생
이송원 지음 / 문예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영화 <나랏말싸미>에 담아낸 역사, 영화 그리고 창작 이야기


나랏말싸미 맹가노니

그저 영화를 보지 못했기에 책이 반갑게 느껴졌다. 단순히 영화와 같은 소설을 떠올리며 읽기 시작했던 나로썬 조금 다른 구성에 재미나기도 했고, 보지못한 장면을 머릿속에 그려보며 나만의 영화를 만들듯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작가의 설명을 읽기 전 머릿속에 그려진 세종대왕의 모습은 익히 알고있던 세종대왕의 모습이 아니었기에 살짝 당황스럽기도 했고, 평범한 아버지의 모습이 떠올라 정겹게 느껴지기도 했다. 마치 현대물을 보는 듯한 편안함...


어린시절부터 알고있던 세종대왕의 모습이 아닌 소헌왕후에겐 좀더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대신들과의 대화는 마치 일반적인 대화를 하듯 편안하게만 느껴졌다. 지금의 드라마와 다를게 뭐가 있을까 싶을만큼 익숙한 모습들이 떠오르는 반면 나약한 세종대왕의 모습은 익숙해질래야 익숙해 질 수 없는 모습이었다. 반면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된 신미라는 중은 마치 세종대왕의 모습인 듯 느껴졌다.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누구앞에서도 기죽지 않는.. 아무래도 역할이 바뀐건지, 작가의 창의력이 과하게 적용된게 아닌가 싶었다.


책을 읽은 후 영화에 대한 평이 궁금해졌다. 단락단락 나눠진 글들만으론 전체적인 영화의 모습들을 떠올려 볼 수 없었기에 그 궁금함이 컸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의 상영후기엔 역사왜곡 이란 단어가 등장했고, 연기자들의 연기는 매우 출중하지만 사실이 아닌 것들이 사실인듯 영화로 표현됨에 있어 거부감이 들었다는 내용들이 눈에 뗬다. 많은 사람들의 눈에 가시처럼 자리잡은 신미스님. 마치 한글을 창제한 사람이 세종대왕이 아닌 신미스님이라는 진행되는 이야기에 묘한 거부감을 느낀 관객들이 많았던듯 하다.


그래서 이 책이 나온게 아닌가 싶다. 어떤 의도로 어떤 생각을 담아 이 영화를 만들었는지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어서.. 자신들의 의도는 세종대왕이 아닌 새로운 인물이 한글을 창제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닌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고통이 따랐는지를 말하고 싶었다고.. 신미라는 인물은 실존인물이면서도 세종대왕의 내적 갈등과 고민을 외면화 할 수 있는 적절한 인물이었기에 그를 좀더 강하게 드러냈을 뿐, 역사왜곡을 하기위한 것이 아니라고...


'나랏말싸미' 논란에 대하여 현재 인터넷 상에서는 "영화는 영화로 봐야한다" 는 주장과 "실제 한글과 세종대왕 등 비롯한 역사적 사실과 실존인물이 이름을 직접 거론하고 있고 영화의 내용을 실제로 오인할 수 있다" 는 주장이 대립중이라고 한다. 내 생각은 영화는 영화로에 더 가깝지만 한창 크고있는 아이들이나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외국인들이 이를 본다는 생각을 했을땐 후자의 의견에 힘을 더해주고 싶다. 충분히 잘못 인지할 수 있는 영향이 있다 느껴지기에.. 


시기가 시기였던것 만큼 더 많은 사람들이 혹평을 했던게 아니었을까 싶다. 수많은 가설중 하나를 선택해 이랬다면? 이라는 뼈대를 갖춰놓고 살점을 하나하나 붙여가는 영화를 떠올린다면 이런 상황들도 한번쯤 상상해봐도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역사적 고증을 마치고 우리에게 알려진 사실 그대로의 이야기가 필요하다면 구지 영화가 아닌 역사책들 속에서 찾아야 하는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