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비 공주 - 2018년 하반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ㅣ 책고래아이들 11
별아래 지음, 지현경 그림 / 책고래 / 2018년 5월
평점 :
책고래아이들 11
「나비 공주」
조선시대 나라의 경사가 생길 때 마다 꽃을 사용하곤 했는데 그때 사용한 꽃들은 생화가 아닌 궁중채화 였다고 한다. 비단, 모시, 종이 등을 이용해 사람이 만든 이른바 가짜꽃 이지만 장인의 손길을 거쳐 생화처럼 만들어진 꽃이었다. 그들은 채화를 생화처럼 만들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했으며, 벌과 나비 그리고 새들도 이를 진짜 꽃이라 여겨 내려 앉을 정도였다고 한다. 난 이 책을 통해 궁중채화 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고 꼭 한번 채화들을 보고싶다는 생각을 했다.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 소년인 도래는 채화장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채화 만드는 것을 배운 도래는 손끝이 야무진 그런 소년이었다. 그런데 어느날 부터 인가 소년은 깊은 고민에 빠져들게 된다. 늘 집보다는 일터에 더 오랜시간 머무는 아버지. 하지만 아버지의 고생에 비해 그들의 삶은 넉넉하지 못했고 어머니는 늘 부족한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일을 해야만 했다. 어머니의 고생이 눈에 보이기 시작한 이후 소년은 자신이 채화를 계속 만들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되고 이를 먼저 알게된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도래의 변화들을 이야기 한다. 도래의 나이때 아버지 또한 고민을 했었기에 도래를 이해할 수 있었지만 이를 내색하지 않은 채 아버지는 도래에게 제안을 한다. 단 일년, 공방에서 잔심부름을 하며 지내는 동안 마음의 변화가 없다면 도래가 하고싶은 일을 하라는 제안을 하게되고 도래는 고민끝에 이를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가게된 공방에서 도래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 알고있던 다양한 작품들을 보게된다.
그곳에서 만나게 쇠돌은 도래보다 한살이 어린 나이이지만 채화를 무척 사랑하는 소년이었다. 자신보다 더 아버지의 아들처럼 보일때도 있어 한때 질투를 하기도 하지만 도래는 쇠돌과 친분을 나누게 되고 심부름을 같이 하며 지낸다. 그러던 어느날 우연히 한 소녀를 보게되고 남들이 보기엔 다소 흉해보이는 점을 보며 나비를 닮았다며 이야기를 나누게된다. 한창 사춘기 시절을 보내고 있던 도래는 정소가 공주마마라는 것을 알게된 이후에도 정소에게 마음이 흔들리게 된다.
궁에도 들어가고 장인들이 채화를 만드는 모습을 보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도래는 돌림병이 돌게 되면서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곳 또한 돌림병이 도게된다. 때마침 산에 올라갔다가 부상을 입게 되면서 절에 머물게 되면서 돌림병을 피할 수 있었지만 공방에 있던 삼촌과 아버지는 돌림병으로 목숨을 잃게 되고 어머니와 여동생은 얼굴에 심한 흉터들이 남게 된다.
사춘기 소년이었던 도래는 절에서 생활을 하며 어엿한 청년이 되었지만 공방으로 다시 돌아가기까지 삼년이라는 시간이 걸리게 된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떠올리게 될 두려움과 사춘기 소년이 겪어야 했던 인생의 방황기를 거친 후 아버지를 떠올리며 다시 공방으로 돌아가게 되고 도래는 그렇게 다시 장인이 되기 위한 길을 가게 된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궁중채화라는 걸 더 늦게 알게 되었을 것이다. 당시 다방면에 사용되었던 꽃들이었지만 아마도 나처럼 생소해 하는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궁중채화에 대해 알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