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 최신 개정증보판
김정희 지음 / 혜다 / 2018년 3월
평점 :
수만 독자가 사랑한 수학책
「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수학이 취미가 될 수 있다니, 나같은 수포자에겐 그저 놀라운 일일 뿐이다. 그림을 그리고, 책을 읽고, 종이접기를 하고, 뜨개질을 하듯 수학도 취미가 될 수 있다니 다시 생각해도 놀랍다. 하지만 작가에겐 그게 가능했나보다.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기 전 학창시절엔 그녀 또한 수포자였다고 하니... '자유롭고 반짝이는, 수학적인 순간' 을 좋아한다는 그녀도 초등학생시절엔 수포자였다고 한다. 그런 그녀가 어쩌다 수학에 빠져들었는지 무척 궁금했다.
[목차]
제1장 : 내 취미는 수학! / 제2장 : 소설 같은 역사 속 수학 이야기 / 제3장 :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자
어린시절 몸이 약했던 작가는 학교를 가는 날보다 그렇지 못한 날이 많았다고 한다. 그런데 마침 등교를 하게 된 날 수학 시험을 보게되고 형편없는 점수를 받은 작가는 나머지 공부를 해야 했다고 한다. 나머지 공부를 해도 배우지 않았기에 이해하기 힘들었던 그 시간 문제를 선생님은 칠판에 적었고 이를 풀어보라는 선생님의 요구에 이상한 대답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건, 선생님이 허약한 학생의 뺨을 거침없이 때렸다는 것이었다. 결국 작가는 힘없이 나가 떨어졌고, 이후 수학과 관련된 내용을 접할때면 귀가 아프거나 뺨이 뜨끈해지는 걸 느끼게 되었다고 한다. 트라우마가 생긴 것이다. 지금이라면 상상할 수 없는 일을 생각없이 저지른 선생님의 불찰로 수포자가 한명 생겼다. 수포자가 아닐 수 있었으며, 초등학교 시절 수학을 즐겁게 배울 수 있었던 어린 소녀를 왜 그렇게 무식한 방법으로 대했던건지 학생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왜 중요한지 다시한번 느끼게 된다.
하지만 수학 공포증이 생긴 덕분에 글을 쓸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는 작가. 참 긍정적이다. 다행히 중학생이 되어 새로운 수학 선생님을 만나게 되고 선생님의 수업 방식에 매료되어 수학에 재미를 붙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나이 많은 할아버지 선생님 특유의 발음을 따라하며 집에서 나홀로 선생님 놀이를 하게 되면서 작가에게 수학은 놀이가 되었던 것이다. 그렇게 작가는 스스로 수학 공포증에서 벗어났다.
아들녀석이 수학에 어려움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나에게 했던 질문중 하나가 "수학 배워 어디에 써먹어?" 였다. 사칙연산을 제외하곤 자주 사용하지도 않는데 왜그렇게 수학을 배우라 말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투정을 부렸다. 내가 당시 어떤 대답을 해줬는진 떠오르지 않지만 아이는 나의 답변에 대단히 못마땅해 한듯한 표정을 지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은 후 아들녀석이 다시한번 이런 질문을 한다면 이 책을 권해줄 것이다. 니가 직접 읽고 알아내라고. 그에대한 답변도 이 책에 있다고.
모든 학문이 그렇듯이 역사를 돌이켜 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 원리공포증을 극복하는 데 수학의 역사를 공부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도 없다. 역사 속엔 이야기가 있고, 당시의 수학자가 고민했던 방식을 저도 모르게 따라 갈 수 있어 흥미롭다 (67쪽)
수학이라 하면 지겹고 어렵고 왜 배워야 하는지(?) 모를 그런 과목이란 생각만 했었는데, 수학을 이렇듯 소설처럼 풀어 쓸 수 있다니 신기하기만 하다. 그런데 거기에 재미있기까지 했다. 솔직한 말로 작가의 모든 이야기를 이해하며 넘어간 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작가의 이야기 속에서 재미를 엿볼 수 있었다. 애가 알지 못했던 역사를 알아가는 것도,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공식들을 설명하는 것도, 부담감 없이 재미나게 읽을 수 있어 좋았다.
'제3장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자' 를 통해 수학을 취미로 즐기는 방법들을 배울 수 있었는데, 무척 흥미로웠다. 작가가 추천해주는 수학 관련 책들도 눈에 익은 책들이 많았으며, 학생들이 읽을 수 있는 책들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학적인 영화' 도 추천해 주었는데 익숙한 영화들이 눈에 띄어 꼭 다시 한번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에 음악 추천까지! 수학이라고 해서 문제푸는 방법쯤이나 소개해주려나 싶었는데 의외의 이야기들을 듣다보니 더큰 호기심이 생기는 듯 했다. 한때 딸 아이의 수학 교과서를 풀며 참 어렵다는 생각을 했던적이 있었다. 하지만 힘들게 찾아낸 답이 정답이었을때의 그 기쁨은 생각보다 크게 다가왔었다. 지금은 일에 치여 시간이 없다는 핑계를 대고 있지만, 다시한번 정답을 찾는 즐거움을 느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딸 아이와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기! 도전해봐도 좋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