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플란드의 밤
올리비에 트뤽 지음, 김도연 옮김 / 달콤한책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하얀 얼음여왕의 땅, 한 겨울 40일간 계속되는 극야와 신비로운 오로라의 땅, 북유럽 극지의 라플란드. 언젠가 꼭 방문해보고 싶은 아름답고 경의로운 그 땅에는 자연에 적응하며 순록과 함께 살아 온 사미족이 있다.

극야가 끝나고 라플란드에 태양이 돌아오는 날, 머나먼 타국을 떠돌다 고향으로 돌아온 사미족의 신성한 북이 사라지고, 순록치기 한명이 살해당한 뒤 두 귀가 잘린 채 발견된다. 노르웨이의 두 순록경찰 클레메트와 니나는 사건을 추적하던 중, 두 사건이 70여년 전 라플란드 탐사과 사미족의 슬픈 과거와 연결되어 있는 사실을 발견한다.

복지 강국이고, 합리적이고, 평등하다는 인식이 강한 북유럽. 하지만 그 속에서도 인종 차별과 소수민족에 대한 부당한 대우가 존재하고, 막대한 금전적 이득을 위해 원주민들의 땅과 생활을 위협하는 무분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라플란드의 원주민인 사미족은 근대 그 땅에 새로 발을 들여놓은 유럽인들에게 차별과, 무리한 종교적 박해, 개종을 당하고, 문화와 삶의 터전을 빼앗겼다. 순록경찰이자 사미족인 클레메트는 어릴 적 스웨덴 기숙학교를 들어가게 된 후 사미족의 언어를 사용할 때마다 처벌을 당했고, 결국 사미족의 언어를 완전히 잃어버린다. 문화를 강제로 빼앗긴다는 것은 한 민족을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가장 무서운 방법이 아닐까?

현재 북유럽 각국에는 사미족 자치의회가 존재하고, 그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사미족은 현재 총 민족의 인구가 7만 여명 정도로, 유엔에서 지구상에서 보호해야 할 소수민족으로 지정되어 있고, 기후변화와 현대화로 인해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잃어가고 있다. 변화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우리는 계속 살아가고, 살아가는 동안 환경과 문화에 적응하며 변화해 나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 우리들에게는 전통을, 과거를 잃어버리고 싶지 않다는 마음 역시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욕심을 버리고, 전통적인 생각과 방법으로 살아가는 순록치기 아슬락이라는 존재는 사미족에게도, 책을 읽고 있는 있어서도 역시 경이롭고 신비로운 존재로 느껴졌을 것이다.

이국적인 극지에서의 스릴러도 무척 흥미로웠지만, 극지를 살아가는 사미족의 순록치기들의 이야기가 책장을 덮은 후에도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자연파괴, 인종차별, 사라지는 전통과 소수민족들. 아름다운 극지를 살아가는 사미족을 만나고,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준 좋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