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을 읽는 시간 - 관계와 감정이 편해지는 심리학 공부
변지영 지음 / 더퀘스트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 마음이 지금 어떤지, 지금 어떤 기분이나 느낌이 드는지 잘 알지 못하면서 삶에서 정말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을까요? (P7)

 

타인을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을 자주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과연 나 자신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감정들에 대한 책 속의 여러 질문들에 대해 내 자신에 대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확신을 가지고 대답할 수 없는 질문들이 많았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나 자신이 낯설어졌다. 이 책은 내가 나답게사는데 있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자기분화, 애착, 정서분별, 정서조절, 마음챙김, 자기자비, 조망수용라는 마음도구 7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책의 부제는 관계와 감정이 편해지는 심리학 공부이다. 종종 인간 관계에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나 답게 살고 싶지만, 세상은 나 혼자서는 살 수 없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 끌려가는 경우가 종종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오는 피로감일 것이다. 작가는 상대방과의 사이에 건강한 경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경계란 나를 지키고 상대의 영역을 존중하는 이라고 한다. 매우 공감 가는 내용이었다. 지금 나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이 건강한 경계일 것이다.

 

이 책은 2부 구성으로 되어 있다. 1부에서는 내 마음을 읽는 법,` 2부에서는 삶을 탄탄하게 구축하는 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1부에는 애착과 정서에 대한 내용이 특히 흥미로웠다. 정서란 선천적인 감정이 아닌, 경험과 기억에 의해 나의 뇌가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조절 역시 가능하다고 보는 작가의 관점에 동의되는 점이 많았다. 2부에서는 고독에 대한 내용을 단순히 심리적 증상으로 보기보다는 뇌가 사회적 고립을 싫어한다는 신경과학적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혼자 있기를 원하면서도 막상 혼자 오래 있게 되면 타인과의 관계를 원하게 되는 것은, 원시시대부터 생존을 위해 혼자가 아닌 무리로 생활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본능의 발달에서 온 뇌의 신호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상생활에 사례들을 들면서 이해하기 쉽게 마음과 감정에 대해 설명해 나가면서도, 심리학적으로만이 아니라, 많은 학자, 실험 결과, 사례들을 들어 과학적, 철학적으로 접근해서 다른 심리학 책들과 조금 다른 느낌으로 읽어나갈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출생순서가 성격을 만든다는 외국 연구 결과가 무척 재미있었다.

이 책에서 설명하는 마음도구 중의 하나인 조망수용이라는 개념이 있다.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 나는 내가 무척 독립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쩌면 독립적이여야 한다는 강박적인 생각이 어딘가 있었을 지도 모른다. 책을 읽으면 나에게 내재되어 있는 조망수용의 능력을 좀 더 발달시켜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타인을 좀 더 많이 이해하고 싶어졌다.

내 마음이 지금 어떤지, 지금 어떤 기분이나 느낌이 드는지 잘 알지 못하면서 삶에서 정말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을까요? (P7)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인간은 마치 자신이 언어를 만들고 지배하는 것처럼 굴지만, 사실은 언어가 인간을 지배한다"고 말했죠.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