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이 불안할 때, 에리히 프롬 - 내 안의 힘을 발견하는 철학 수업 서가명강 시리즈 24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를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의 24번째 시리즈는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찬국 교수와 함께 에리히 프롬을 만나는 시간이다. <사랑의 기술>, <자유로부터의 도피>, <소유냐 존재냐> 등의 책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에리히 프롬은 대중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철학자이며 ‘사랑의 철학자’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사람의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 중에 하나인 사랑, 자유에 대한 프롬의 사상은 여타의 어렵고 난해한 철학보다 조금은 편하게 다가오면서도 삶에 대한 큰 화두를 던진다.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중심으로 박찬국 교수가 펼쳐내는 에리히 프롬의 삶과 사상에 대한 이야기는 철학적 이론 뿐만 아니라 비판적이면서도 독립적이고 종교적, 철학적, 심리적인 다양한 통찰을 폭넓게 수용하는 삶을 살고자 했던 그의 모습을 통해 프롬의 사상을 조금 더 가깝게 접할 수 있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있어 자유란 무척 중요한 가치이고 당연하게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개념이다. 중세의 왕정, 국가권력, 교회권력에서 해방되어 현대인들은 자신이 자유롭다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프롬은 오히려 제도적인 권위와 지배에서 해방된 사람들이 고독과 무력감에 대한 불안 등의 이유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스스로 자유로부터 도피하고 있다고 말한다.



프롬은 자유로부터 도피하는 네 가지 방법으로 마조히즘, 사디즘, 네크로필리아, 기계적 획일성을 들고 있다. 속박이나 지배를 통한 관계를 통해 안정감을, 정치적 권위나 상업적 가치에 수동적으로 따르며 내면의 무력감과 불안감에서 벗어나려고 스스로를 진정한 자유에서 도피해 거짓된 자유에서 편안함을 찾는다는 말한다.



결합과 합일, 초월과 창조, 지향의 틀과 헌신의 대상, 프롬이 말하는 인간 고유의 세 가지 욕망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존재와의 결합과 합일을 본능적으로 추구한다고 본다. 정치적 집단에의 예속, 종교적 교리에 대한 광적인 집착, 우상 숭배 같이 욕망을 어긋난 방향으로 해소하는 형태가 바로 자유로부터 도피한 인간의 모습인 것이다. 독일에서 나치즘이 대두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불안하고 낯선 세계에서 도피하여 강한 힘을 가진 공동체에 속함으로써의 안심을 얻고자 하는 심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의 시대를 프롬의 시각으로 본다면 슬프게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아니 과거보다 더 병든 욕구가 지배하는 사회로 보일 지도 모른다. 현대 자본주의의 시대는 예전보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고 여가 시간 역시 많아졌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과거 보다 더 분리되고 서로간에 소외되어 있으며 고독하다. 세계 곳곳에서 극우파가 점점 더 영향력을 넓혀가고 물질적 탐욕 역시 나날이 강해지고 있다.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지위가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낸다는 생각에 갇혀 결국 더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어떻게 해야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에리히 프롬이 생각하는 자유란 인간이 자신의 실존적 욕망들을 이성적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연대, 미덕을 실천하고 사랑과 책임감, 관심을 진정으로 자유로운 존재가 되기 위해 구현해야 할 덕으로 보았다. 프롬은 우리에게 소유욕과 탐욕에서 벗어나야하며, 모든 생명을 사랑하고 존중하고, 책임감과 타인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과거도, 미래도 아닌 지금 현재를 살아가며, 참된 자유를 추구하는 삶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끝없이 수양하라고 말한다.



사실 진정한 자유를 얻기 위해 프롬이 제시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실현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삶이란 소유양식과 존재양식 양쪽 모두를 추구하지 않을 수 없고, 수도자와도 같은 수양은 현실적으로 실천하기 쉽지 않으며, 게다가 개인의 노력만이 아닌 사회구조의 변혁 역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랑과 자유를 말하는 프롬의 글을 통해 자신이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나에게 있어 자유란 과연 무엇인지, 현대인들의 고독과 불안함은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무엇을 잃어버렸고,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야 할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과학의 시대인 지금에도 왜 우리에게 철학이 필요할까. 아마도 자기자신을 조금이나마 들여다보기 위해서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