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처한 동양미술 이야기 2 - 중국, 사람이 하늘을 열어젖히다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동양미술 이야기 시리즈 2
강희정 지음 / 사회평론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시, 이집트부터 르네상스까지 서양 미술사를 담아낸 난생 처음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시리즈를 이어 이번에는 난처한 동양미술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1편 인도편과 2편 중국편으로 시작된 동양미술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져나갈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동양미술은 서양미술에 비해 밋밋하고 지루하다는 어렸을 때의 편견 때문인지 사실 지금까지 동양미술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많지 않았다. 최근들어 그림과 장신구, 자기 같은 한국미술에도 관심이 많아지고 있었던 차에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 영향이 많은 동양미술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해 볼 수 있는 시리즈의 출간은 무척 반가운 일이다.



역사 왜곡이나 동북공정 같은 중국과의 문화적 갈등이 많은 지금이야말로 우리와 중국의 미술에 대해 더욱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지리적 요소나 역사적, 문화적 관계로 한국의 미술은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한국 뿐만 아니라 그건 세계 어떤 나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고 어떻게 자국 고유의 문화로 발전시켜왔는지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중국, 사람이 하늘을 열어젖히다>라는 부제로 시작하는 중국편은 황하 문명부터 중국 미술의 형태가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는 한나라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미술사를 통해 중국의 역사도 함께 개관할 수 있었다.



중국의 옥에 대한 사랑은 워낙 유명하다보니 알고는 있었지만 설마 그 옥 사랑이 고대 신석기 시대부터였을 것이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북방의 홍산문화에서 발굴된 유물을 보면 기원전 8000년 전부터로 추정된다고 하니 만 년에 가까운 시간이다. 사악한 기운을 막아 준다고 여겨 무덤 부장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무덤용 옥 공예품들을 보면 중국인들의 생사관 뿐만 아니라 문명이 시작된 이래 인간이 삶과 죽음, 사후세계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된다.



어느 시대건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 열망이 존재한다. 21세기 역시 마찬가지이지 않은가. 64만 평에 이르는 규모, 수천만 구의 병마용과 궁전과 능원이 발견된 진시황릉이나 마왕퇴 한묘를 보면 욕심이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그 만큼 두렵고 걱정이 많았던 것이 아닐까도 싶다. 귀부인 미라로 유명한 마왕퇴의 관을 보면 내관, 중관, 외관으로 구성된 3개의 관 모두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거기에 더해 지하세계-인간세계-신선세계를 표현하는 다양하고 화려한 상징을 담은 관을 감싸는 T형 비단까지 엄청난 정성만큼이나 그에 깃든 소망이 느껴진다. 한나라 시대에 유교와 도교, 민간신앙이 어우러진 중국 고유의 내세관이 확립되었다고 한다. 서왕모 화상전이나 비단 같은 유물 속에 담긴 기호와 상징의 의미들은 알면 알수록 흥미롭다.



정이나 장식품, 그릇 같은 익숙한 청동기 유물들과 달리 운남성 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하는 저패기는 처음보는 용도와 형태여서 유독 눈길이 갔다. 그 당시 화폐로 사용하던 조개껍질을 보관하는 금고의 역할을 했던 청동기 용기라고 하는데 독특한 형태와 금고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상징으로 장식된 뚜껑의 화려함이 인상적이었다. 금고문까지 화려하게 장식하고자 했던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과 이유가 궁금하기도 했다. 운남성은 고대부터 오랜 시간 독립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특색 있는 문화가 많이 발달했다고 하는데 인물상이나 조각 역시 한나라를 중심으로 한 중국미술과는 조금 다른 느낌이 있었다.




다양한 도판과 자료를 바탕으로 마치 직접 강의를 듣는 것처럼 질문과 답이 이어지며 편안한 기분으로 미술과 역사 투어를 다녀온 느낌이다. 새로운 작품, 때론 익숙한 작품들과 그것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상, 세계관, 내세관, 문화의 변화의 흐름이 동양미술에 대한 호기심을 한층 더해주었다. 앞으로의 시리즈가 더욱 기대되는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