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돌, 그리고 한국 건축 문명 - 동과 서, 과거와 현재를 횡단하는 건축 교양 강의
전봉희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 그 중에서도 주택은 삶의 유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 중에 하나이고 각각의 건축문명은 그 사회의 환경적, 문화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다. 그렇다면 한국 건축의 역사는 어떤 흐름을 가지고 있는가. 저자와 함께 인류의 건축 문명의 시작에서부터 서양과 동아시아 건축 문화의 차이, 한옥에서 아파트까지 시대별 한국 건축 역사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건축이란 얼마나 우리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인류의 건축 문명을 크게 나무 건축, 돌 건축으로 분류하고 그에 더해 흙 건축, 천막 건축을 더해, 돌 건축이 주를 이룬 서양과 지리적 고립성 때문에 특수한 건축 전통을 가지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의 동아시아의 나무 건축, 건조한 환경, 목축 중심과 유목 민족에서 많이 사용되는 천막 건축, 아메리카 원주민과 열대지역에서 주로 이용된 흙 건축으로 나누어, 이를 통해 건축 형태가 환경적, 사회적 요인이 혼합되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 나라 안에서도 기후, 지형, 산업의 차이가 지역별 주택 형태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또한 교류가 활발하고 국제성, 개방성이 높을수록 건축의 변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는 점도 흥미로운 점이다. 또한 한국 건축과 조형에 큰 영향을 준 요인 중에 하나가 인도에서 건너온 불교의 탑과 불상이라는 것 역시 다른 문화와의 접촉이 새롭고 변화하는 전통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 건축 문명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전통적인 형태인 한옥과 아파트 공화국이라고 불릴만큼 지금의 주택 형태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이다.

이번 기회로 한옥을 좋아한다고 하면서도 한옥에 대해 얼마나 모르고 있는 점이 많은지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공포, 머름 같이 명칭조차 생소한 구조와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얹은 다음 바닥, 벽 천장, 장식, 기단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순서도 흥미로웠다. 아래에서부터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것이 아닌 큰 뼈대를 완성한 후 바닥과 벽을 채워나가는 형태이다. 또한 한국 주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온돌이 조선시대 확산됨에 따라 작은 여러 건물로 이루어진 형태에서 하나로 합쳐진 구조, 좌식생활과 신발을 벗고 생활하는 방향으로 주거 형태의 변화해온 과정을 보면서 전통적이라고 생각해왔던 모습 역시 다양한 환경요인으로 인해 변화해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아파트라는 주거 환경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70년대 온수 파이프를 이용한 바닥 난방이 도입되고, 부엌, 식당과 거실 공간이 통합된 LDK는 1980년대 중반에 그 형태를 갖추었다고 한다. 지금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주거 형태가 사실 무척 급격한 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무엇보다 부엌이라는 공간의 형태적, 의미적 변화가 인상적이다. 주거 공간 중에서 단순히 공간의 변화가 아닌 계급적,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공간이 바로 부엌이었다.

현재 한국의 전체 주택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이며, 새로 짓고 있는 건설량의 90%이상이 아파트라고 한다. 앞으로 단독주택이나 한옥보다 아파트가 지금보다 더욱 더 늘어날 것이다. 100여년의 기간 동안 한옥에서 아파트로 우리의 주거환경은 크게 변화하였고 삶의 형태 역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점점 더 사회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지금, 보편적인 주거 형태가 앞으로 또 어떻게 변화해갈지 상상해보는 것도 즐거운 일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