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해부학자 - 명화로 읽는 인체의 서사 미술관에 간 지식인
이재호 지음 / 어바웃어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가의 손끝을 따라가며 명화에 담긴 해부학 코드를 해석하다>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의 매력은 언뜻 보기에 예술과 그닥 관련이 없을 것 같은 화학, 수학, 물리학 등의 분야 전문가의 관점으로 명화를 바라봄으로써 좀 더 다채로운 방향에서 작품을 들여다볼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일 것이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미술관을 찾은 해부학자의 시선을 통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작품의 또 다른 면들을 보여준다.

 

 

자세히 보지 못하고 지나치기 쉬운 작품 속 인물의 다리 정맥이나 옷으로 가려 보이지 않는 근육 하나하나까지도 세세하게 스케치로 묘사한 자크 루이 다비드, 해부학을 주제로 한 렘브란트의 작품 속 근육의 오류, 미켈란젤로의 작품인 시스티나 성당의 ‘천지창조’에 담겨있는 뇌 해부도,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속에 그려진 폐결핵으로 사망한 사랑했던 시모네타의 모습과 ‘프리마베라’ 속에 숨어있는 허파 같은 명화 속에 담겨있는 인체의 모습들과 지구를 짊어지는 형벌을 받은 거인 아틀라스처럼 머리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첫 번째 목뼈 아틀라스, 미노타우로스가 갇혀있던 미궁과도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가진 속귀처럼 사람의 인체의 이름과 연관된 신화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통해 명화와 인체 모두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

 

 

르네상스 시대 예술을 비롯해 다방면으로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무려 1800여 점의 해부학 그림을 남긴 위대한 해부학자이기도 했다. 다 빈치뿐만 아니라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같은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위대한 예술가들은 당시 교회가 사회를 지배하며 해부학이 금기화되었던 시기에 작품 속 인체를 좀 더 자세히 표현하기 위하여 위험을 무릅쓰고 해부작업을 하기도 했다. 인체의 기관들을 직접 보고 이해하고 연구를 거듭하여 작품 속에서 사실적이고 세밀하게 표현한 모습들을 통해 작품에 대한 작가의 노력과 열정을 엿볼 수 있었다.

 

 

명화 속에 담긴 이야기만큼이나 골격, 근육, 내부의 장기와 신경, 혈관, 뇌, 심장 등 여러 인체 기관들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설명을 통해 인체가 얼마나 복잡하고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몸 안에 수많은 기관들이 몸을 유지하고 생활하기 위해 얼마나 복합적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다시금 인식해 볼 수 있어서인지 해부학이란 재미있는 학문이구나라는 생각과 함께 흥미가 솟았다.

 

 

예술작품의 소재로 자주 사용되는 오이디푸스왕의 작품에서 발목염좌를, 그의 딸 안티고네의 이름에서 기원된 ‘anti-'가 숨어있는 근육 ’대항근‘에서 대상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일 때 사용하는 단어인 ’안티‘까지, 신화 속 이야기에서 해부학으로, 인체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작품과 작가, 시대와 사회문화를 다양하게 넘나들며 절묘하게 엮어내는 인체와 예술의 이야기 속으로 푹 빠져드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