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고요하지 않다 - 식물, 동물, 그리고 미생물 경이로운 생명의 노래
마들렌 치게 지음, 배명자 옮김, 최재천 감수 / 흐름출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이 고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아직 제대로 귀 기울여 듣지 않았을 뿐이다. (P17)

도시는 시끄럽고 번잡스러우며 숲과 자연은 고요하고 편안하다. 이것이 얼마나 편협한 생각이었는지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내가 알지 못했을 뿐이지 자연 속 동물, 식물, 미생물들은 모두 생존을 위해 시각, 청각, 후각 등 환경에 따른 각기 다른 방식으로 끊임없이 정보교환을 하고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세균, 아메바,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들조차 소통하고 공생한다.

독일의 행동생물학자인 저자 마를렌 치게가 보여주는 생명체들의 대화와 정보교환을 보고 있자면 저자의 말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숲은 고요하기는커녕 도시만큼이나 다양한 활동과 소통이 일어나는 시끄럽고 활기찬 곳이다.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보는 자연의 언어는 놀랍기만 하지만, 그 중에서도 식물의 생존을 위한 소통 방식과 자연의 정보망은 감탄이 나올 정도이다. 달콤한 즙을 입구에 발라 곤충을 유인하는 주전자풀과 그 주전자풀이 소화하고 남은 찌꺼기를 먹이로 삼는 대신 그 안에 남은 오물이나 잔해를 청소해주는 왕개미의 공생관계는 무척 흥미롭다. 같은 종만이 아닌 동물과 식물, 식물과 미생물 사이에도 서로의 윈윈을 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수분을 얻기 위해 암컷 곤충이 수컷 곤충을 유혹할 때와 유사한 화학 전달물질을 방출해서 수컷 흑벌을 속이는 곤충난초처럼 식물 사기꾼도 존재한다고 한다. 숲은 거대한 사회관계망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의도를 가진 의사소통을 통해 생존과 번식을 이루어가는 식물들의 활동은 뿌리를 내리고 움직이지 못하는 수동적이라고 생각하기 쉬운 식물들의 전투가 얼마나 능동적이고 전략적인지 책을 읽는 내내 놀람과 감탄사가 끊임없이 튀어나왔다. 심지어 너무 재밌기까지 하다.

토끼나 오소리 같은 포유동물의 배설물에는 무척이나 다양한 정보가 담겨있다고 한다. 건강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성별이나 짝짓기 준비 정도 같은 개인정보까지 알 수 있는 똥과 오줌을 통해 서로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더럽다고만 생각되었던 동물의 배설물은 그들에게는 무척이나 유용한 소통의 수단이었던 것이다. 더불어 시골토끼와 정반대인 생활방식을 가진 도시토끼를 보면서 선입견이란 단어가 생각났다. 시골보다 훨씬 위험할 것 같다는 생각과는 달리 오히려 천적이 적은 도시에서는 집단생활이 적어지고 들판에 사는 야생토끼에 비해 작은 굴에 살며 낮에도 활동하는 도시의 야생토끼들이란. 복잡한 도시환경에 야생동물이 적응하기 힘들거라는 내 생각에서 한참 벗어나있었다. 이 얼마나 유연한 생존방식인가.

‘숲은 전혀 고요하지 않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떠올려 보는 숲의 모습은 과거 내가 알던 모습과는 너무나도 다르다. 바이오커뮤니케이션(Biocommunication). 인간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복합적이고 합리적인 생물의 생존과 번식을 위한 소통방식을 통해 생명이란 얼마나 정교하게 프로그램되어 있는지, 여러 생명이 공존하는 숲의 공간이 얼마나 경이로운지, 정말이지 너무나도 멋진 세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