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폴리스 -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도시의 역사로 보는 인류문명사
벤 윌슨 지음, 박수철 옮김, 박진빈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르크에서 라고스까지

6,000년간 인류 문명을 꽃피운 26개 도시로 떠나는 세계사 대항해

도시는 복잡하고 시끄럽다.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하다. 누군가 나에게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것이 행복하냐고 묻는다면 한참을 고민할지도 모르지만, 앞으로도 도시에서 살아갈 것이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생활해왔고 앞으로도 시간을 함께할 도시에 대한 역사를 기원전 4000년 전 탄생한 우르크를 시작으로 바빌론, 아테네, 로마, 바그다드, 런던, 맨체스터, 시카고, 파리, 뉴욕, 바르샤바, 라고스 등 26개의 각 시대를 대변하는 도시를 연대순으로 바라본 이 책의 출간에 자연스레 눈길이 갔다.

세계 최초의 도시이자,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가 다스리는 국가로 등장하는 우르크는 도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도시가 만들어짐으로서 어떤 변화와 발전이 일어나는지를 잘 보여준다. 도시가 형성되고 사람이 모이면서 새로운 도구가 만들어지고 기술이 발달된다. 만들어진 상품으로 인해 거래와 교역이 이루어짐으로써 화폐가 발전하고 정보를 간단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기호가 만들어지고 다양한 변화로 인해 도시는 더욱더 커지고 인구는 밀집된다. 인간의 발전의 역사는 도시의 발전과 그 궤를 함께해왔다.

‘도시는 유토피아인 동시에 디스토피아다.’(P118)

타락과 퇴폐의 상징과도 같은 도시 ‘바빌론’, 지금의 카페 문화를 시작된 ‘런던’, 후기 산업혁명 발달의 부정적 면을 보여주는 ‘멘체스터와 시카고’, 상업과 교역의 중심지며 문화와 예술이 번성한 ‘암스테르담’. 전쟁이 도시를 어떻게 말살하는가를 잘 보여준 ‘바르샤바’. 매력적이고 다채로운 여러 도시들의 이야기 속에서 제일 흥미로운 지점은 도시가 가진 양면성을 잘 보여준다는 점이다.

여러 예술 작품에서도 부정하고 타락한 도시의 대표적인 모습으로 자주 표현되곤 하는 바빌론은 그 당시 지식과 예술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사교의 장이자 뉴스의 중심지, 교류와 진보가 이루어지던 장소인 카페를 에티오피아에서 이스탄불을 거쳐 유럽으로 들여온 런던은 산업혁명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그에 따라 도시 자체가 근면하게 돌아가는 역동적인 장소였지만, 그와 동시에 곳곳에 빈민굴과 타락한 행위들이 만연하는 도시이기도 했다. 거대한 산업도시 멘체스터는 대량생산을 이뤄내고 도시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낸 대도시였지만 급격하게 인구가 밀집되고 커져가는 경제적 격차로 인한 계급화로 인해 열악하고 불결한 빈민굴과 끊임없이 범죄가 발생하는 위험한 장소이기도 했다.

도시는 매력적인만큼 위험하고 발전하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어둠이 더 커지며 성공과 실패가 동시에 일어나는 장소이다. 번성하고 파괴되며, 쇠락하지만 또한 재건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모두가 이상적인 도시의 모습을 꿈꾸지만 6,000년의 긴 시간동안 존재한 다양한 도시 중 그 어느 곳도 도시의 이상향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도시는 인간의 욕구에 의해 변화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끊임없이 변하는 생물과도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인구의 과밀화, 급격한 기후변화, 산업의 고도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도시는 또 한 차례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첨단기술로 통제하는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 도시와 자연의 균형을 생각하는 녹색 도시, 도시 내부의 소규모 공동체 재구축, 세계의 대도시들은 다양한 방식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나는 앞으로 어떤 도시에서 살게 될 것인가. 나는 어떤 도시에서 살고 싶은가. 이 책을 통해 지금 내가 존재하는 장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