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의 힘 - 대담하고 자유로운 스토리의 원형을 찾아서
신동흔 지음 / 나무의철학 / 202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려보면 많이 생각나는 일 중 하나가 동화책을 읽던 시간이다. 신데렐라부터 백설공주, 백조 왕자, 팥죽할머니와 호랑이까지 때로는 재밌기도 하고, 때로는 무섭기도 하며, 동물이 사람으로 변신하는 신기한 광경과, 공주를 구하러 오는 왕자님이 등장하는 모습을 상상해보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성인이 되어 다시 접한 동화나 설화는 추억 속의 이야기와 많이 달랐다. 아동용으로 순화된 이야기 뒤에 이어지는 잔혹하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의 복수 이야기에 놀라고, 왕자가 와주기만을 기다리는 공주들의 모습에서 의문을 가지기도 했다. 생계가 어렵다는 이유로 아이를 숲에 버린 '헨젤과 그레텔'을 보면서 아동 인권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인식하기도 했다.

 

 

아름답고 환상적인 이야기 속에 담긴 다양한 의미를 읽어내게 되었다는 사실은 한편으로는 씁쓸하기도 하지만 반면에 이야기를 좀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눈을 가지게 됐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최고의 구비설화 전문가인 저자 신동흔은 각국의 동화, 민담, 설화 속에 숨겨진 깊고 복잡한 의미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또 한편으로 옛이야기들을 현재의 시각에서 좀더 다양한 시선으로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수동적으로 느껴지는 신데렐라가 얼마나 열심히 일하며 스스로 고난을 이겨내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인물인지 보여주고, 여우로 둔갑한 누이가 부모와 형제를 잡아먹고 마지막으로 막내 오빠까지 잡아먹으려고 하는 이야기인 '여우 누이'의 부모와 요즘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옳고 그른 것을 따지지 않고 모두 들어주는 부모를 엮어 내며 현실적인 오싹함을 느끼게 한다.

 

빨간모자 이야기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할머니에게 음식을 가져다드리기 위해 길을 나선 빨간모자는 늑대의 달콤한 말과 숲의 아름다움에 빠져 할머니 집에 가야한다는 목적을 잊고 숲 속 깊숙히 들어간다. 결국 늑대에게 할머니에 이어 자신까지도 잡아먹히는 빨간모자와, 페이스북의 좋아요에 빠지고 타인이 자신을 긍정해준다는 행복감에 휘둘려 현실에서 눈을 돌려 점점 가상의 공간 속 행복을 쫓아 가까운 주변을 소홀하게 되고 실망감을 주게 된 저자의 경험에서 과연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옛이야기지만 현실과 그닥 다르지 않다.

 

오랜 세월을 거쳐 전해져 온 옛날 이야기는 그 시간만큼이나 수 많은 사람들의 경험과 철학을 담고 있다. 그렇기때문에 사라지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져 내려오는 것일 것이다. 재미있는 점은 비슷한 내용을 가진 이야기가 세계 각지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마치 신데렐라와 콩쥐 팥쥐의 이야기처럼 말이다. 인간이란 다양성 만큼이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심리와 상상력을 내재하고 있다고 것을 다시 한번 알 수 있다.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푸른수염'이나 '개구리 왕자', '선녀와 나무꾼'처럼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이야기만큼이나 '신비한 해골', '지빠귀 부리 왕', '코르베스 씨'처럼 생소한 한국 설화나 그림형제 민담 속 이야기 들은 자신, 가족, 사랑, 성장과 독립, 성공, 세상과의 관계, 행복 같은 삶에 중요한 요소들이 담긴 다양한 서사와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의미들로 가득하다. 왜 옛이야기가 이렇게 오랜시간 사랑받고 이어져왔는지 다시 한번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