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클럽
레오 담로슈 지음, 장진영 옮김 / 아이템하우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대 영국 지성인과 문화인들을 통해 매혹적인 한 시대를 이야기한다.

 

‘더 클럽’은 위대한 비평가이자 시인, 문학가이며 1928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이 출간되기 전까지 150여년의 시간동안 영어의 표준이 되었던 영국 최초의 영어사전(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을 집필한 새뮤얼 존슨과 그의 절친이었던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이자 왕립 미술아카데미 총장인 조슈아 레이놀즈가 만든 모임이었다. 1764년 생활고와 우울증에 빠진 친구 존슨을 위해 레이놀즈는 존슨이 좋아하는 대화와 선술집이라는 조합으로 모임을 만들었다. 런던의 선술집 ‘터크즈 헤드 태번(Turk's Head Tavern)’에서 매주 금요일 회원들이 모여 정치, 경제, 예술, 문학, 역사 등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을 나누었다.

 

정치가 에드먼드 버크, 그의 장인인 크리스토퍼 뉴전트, 증권 중개인 앤서니 채미어, 작가인 올리버 골드스미스, 토펌 보우클레어와 베넷 랭턴, 치안판사이자 음악학자인 존 호킨스와 새뮤얼 존슨과 조슈아 레이놀즈를 포함해서 총 9명으로 더 클럽이 창설되고 점점 규모가 커지면서 <로마제국쇠망사>의 저자이자 역사가인 에드워드 기번,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 스코틀랜드 출신의 전기작가 제임스 보즈웰, 영국 최고배우로 손꼽히던 데이비드 개릭까지 다양한 회원들이 모여 20여년간 활동을 이어갔다. 당대는 물론이고 후대까지 큰 영향력을 미친 인물들의 모임이었지만 이 클럽에 들어가기 위한 조건은 의외로 단순했다. 바로 ‘좋은 벗’이 되는 것이다. 누군가와 시간을 함께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더 클럽이라는 모임의 이야기임과 동시에 새뮤얼 존슨과 제임스 보즈웰을 포함한 모임 회원들의 간략한 전기이자 18세기 영국의 시대상을 보여주는 역사책으로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다. 존슨을 스승처럼 존경했던 보즈웰이 남긴 ‘존슨전’에 남겨진 존슨과의 만남, 클럽에서 회원들끼리 나누던 대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 등을 통해 존슨의 일생의 한 면과 회원들 간의 우정, 경쟁, 논쟁 등의 다양한 모습들을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그 당시 대다수의 남성 지식인들과는 달리 당대 여성 지식인들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영국의 식민지 정책을 비판했던 존슨의 또 다른 면을 알게 되어 영어사전을 집필한 ‘존슨 박사’로만 알고 있던 ‘새뮤얼 존슨’이라는 인물에 대해 새로운 흥미가 가지게 되었다.

 

또한 주된 회원들을 챕터별로 다뤄 당대 지성인, 예술인, 청치가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 무엇보다 그들의 초상화를 비롯해서 그 시대 영국의 모습을 담은 삽화들을 통해 역동적이고 활기차고 북적이는 18세기 런던의 모습이 한층 더 가깝게 느낄 수 있었다.

 

새뮤얼 존슨의 <영어사전>에서는 ‘CLUB''특정 조건에서 만나는 좋은 친구들의 모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어느 금요일 런던의 평범한 선술집에 일정한 시간이 되면 회원들이 모여 때로는 자유롭게, 때로는 심오하게 토론을 나누고 사적인 시간을 공유하는 좋은 친구들의 모임 THE CLUB과 함께 18세기 급변하는 런던으로 시간여행을 다녀온 것만 같은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