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화가 김홍도 - 붓으로 세상을 흔들다
이충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 왕의 총애를 받았던 어용화사이자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작품들을 통해 폭 넓게 사랑받고 있는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 널리 알려져 있는 그의 그림과는 상대적으로 그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던 부분이 많다. ‘간송 전형필’, ‘아, 김수환 추기경’ 등 실한 자료 조사와 대상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문학적 역량을 바탕으로 출간하는 작품마다 크게 사랑받고 있는 한국 문학계의 보기 드문 전기 작가 이충렬은 이번에도 기대했던 대로 화가 김홍도를 넘어 인간 김홍도를 그려내고 있다.

 

가난한 어촌마을에서 무반 출신의 중인으로 태어나 그림에 뜻을 품고, 스승 표암 강세황과 현재 심상정, 평생의 지기 이인문 등을 만나 도화서 화원이 되고, 세 번이나 어진을 그린 어용화사이자, 당대 손꼽히는 화가로 양반, 평민을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사랑을 받았던 그의 60년의 삶은 실로 파란만장했다.

 

어용화사에 대한 공로로 엄격한 신분 사회 속에 중인이 오를 수 있는 최고 품계인 종6품의 벼슬을 세 번이나 제수 받고, 현감의 자리까지 오르지만 그는 관직을 불편해하면 도화서로 돌아가고 싶어했고, 평생 화가로서 살기를 원했다. 속화를 그리기위해 화구통을 메고 한양 저잣거리를 다니며, 강희언의 집에서 도화서 화원들과 함께 모여 주문받는 그림을 나눠 그리고, 백운동천에 집을 마련하고 자연을 벗 삼아 지인들과 시와 그림을 나누던 나날이 그에게는 가장 행복했던 시간이 아니었을까.

 

어용화사로서의 명예와 도화원의 뛰어난 화원, 양반들이 앞 다투어 작품을 주문하는 당대 유명한 화가였지만, 엄격한 신분 사회였던 조선에서 벼슬에 올라 오히려 견고한 신분 사회의 한계를 느끼고 그림에 매진했던 김홍도의 삶의 마지막은 화원을 그만두고, 아들의 월사금을 보낼 돈 조차 없을 정도로 궁핍하고 쓸쓸하게 끝났지만, 그의 그림은 긴 시간동안 남아 지금까지도 극찬을 받으며 사랑받고 있다. 가족, 스승, 명예, 소중한 많은 것들을 잃어가면서도 더욱 격조있고 단단해지는 그의 그림은 삶의 고단함 속에서도 끊임없이 성장하고 앞으로 나아갔던 김홍도의 힘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어떤 그림을 그리고 싶냐는 스승 심상정의 물음에 ‘사람의 마음과 통하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대답한 그는 또 다른 스승 강세황과의 대화에서 깨달음을 얻고 사람의 삶을 담은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삶의 냄새가 나는 ‘진경’ 속으로 들어가 백성의 삶이 생생하게 살아있는 속화를 그린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씨름, 서당, 길쌈, 대장간 같은 <단원풍속도첩>에 수록된 작품들은 그 시대의 사람들이 일상을 인간미넘치게 그려내고 있다. 동시에 그는 왕의 총애를 받는 어용화사이자 도화원에서 가장 실력이 높은 이들이 모인 1방 화원으로서 송하맹호도, 해동명산도첩, 병진년화첩 등 수려하고 우아한 작품 역시 많이 남겼다. 

 

멋스럽고, 인간미넘치고, 때로는 사랑스러운 단원 김홍도의 그림 자체의 힘도 대단하지만 그의 파란만장했던 인생속 행복과 고뇌, 마지막까지 그 무엇보다 화가로서 살아가고자 했던 그의 삶의 궤적을 세심한 사료 조사를 통해 입체감과 생동감 넘치게 그려내준 덕분에 그의 작품을 한층 더 깊이 있게 볼 수 있게 되는 좋은 계기가 된 것 같다. 100점에 달하는 그림 도판에 눈이 즐겁고, 김홍도의 일생에 마음을 빼앗기게 만드는 매력 넘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