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로 보는 한국의 미의식 2 : 해학 - 본성에서 우러나는 유쾌한 웃음 미술로 보는 한국의 미의식 2
최광진 지음 / 미술문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학이란 우리에게 무척 친숙한 단어이다. <해학>이라는 단어의 뜻을 사전에서 검색해보면 ‘한국의 유머’. ‘정답고 긍정적인 우스개’,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 등으로 정의된다. 즉 한국적이며 긍정적이고 익살스러우며 유쾌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자는 책에서 해학을 [사회의 부조리와 부패한 권력을 희롱하고 낙천적으로 삶을 긍정하는 달관의 지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익살을 버리지 않으면서 사회의 통념을 비틀고 공동체의 화합과 평등사상을 품고 있는 해학의 정신을 다양한 미술작품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1장 민속신앙에 담긴 해학의 정서에서는 귀면 기와, 장승, 사천왕상 같은 전통 민속신앙 조형물을 통해 해학예술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다.

몇 년 전 많은 사랑을 받았던 드라마 ‘도깨비’에서 등장하는 도깨비는 우리가 평소 떠올리는 중국과 일본 도깨비인 머리에 뿔이 있고 무서운 존재가 아닌, 비상한 힘과 괴상한 재주를 가졌으며 장난과 풍류를 좋아하는 한국 전통 도깨비를 모티브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귀면 기와 속에 도깨비를 들여다보고 있으면 어느새 웃음을 짓게 되는 표정을 가지고 있다.

 

2장 조선의 품속에서 길어 올린 해학에서는 윤두서, 김홍도, 신윤복 등의 서민들의 소소한 일상을 담은 풍속화를 서양의 작품들과 비교하며 해학이 가지고 있는 한국 특유의 감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윤두서와 쿠르베, 밀레의 작품 등 평소 연결지어 생각해보지 못했던 작품들을 비교해 보는 점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역시나 김홍도의 풍속화 속에는 절로 웃음을 주는 해학이 가득하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었다.

 

3장 민화로 승화된 낭만적 해학에서는 까치호랑이, 책거리, 고사인물도 등 조선시대의 다양한 민화 속에 담긴 해학적 요소와 의미에 대한 소개와 민화작품들을 르네 마드리드, 앙리 마티스 같은 서양미술가의 작품들과 비교해 보는 재미를, 4장 현대미술로 계승된 해학의 미학에서는 해학적 정서가 이중섭, 장욱진, 이왈종, 주재환, 최정화 같은 현대작가에게 어떻게 계승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등장하는 동물, 소품들에 담긴 뜻을 알고 보는 민화는 좀 더 다양하고 풍성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평소 잘 접하기 힘든 민화 작품들을 많이 볼 수 있어서 즐거운 시간이었다.

 

해학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여유를 가지고 웃음을 잃지 않을 수 있는 힘을 준다. 저자의 말처럼 지금 우리시대에 꼭 필요한 정서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한국인의 미의식은 "멋을 느끼고 창출할 수 있는 의식"으로 ‘신명’, ‘해학’ ‘소박‘, ’평온‘의 미의식으로 발현되어 왔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