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방랑
후지와라 신야 지음, 이윤정 옮김 / 작가정신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살면서 몇 번의 고비를 만나듯이 여행에도 빙점이 있다.
여행 초기의 뜨거웠던 피는 식고 마침내 그것이 임계점에 도달했을 때 얼어붙는다.
눈앞에 나타나는 모든 인간을 일생일대의 인연으로 여기고 소중히 대하기로 했다.
변두리 유곽의 창녀에서 심산에 틀어박힌 스님까지 그 어떤 인간이든 철저히 사귀기로 했다.
여행의 중반, 갑자기 나는 회생했다.
또다시 인간이 한없이 재미있어졌다.
얼어붙은 여행이 녹기 시작했다.
나 자신을 되찾았다.
누구에게나 빙점은 있다.
반드시 찾아온다.
인간의 빙점을 녹이는 것은 인간이다. 인간의 체온이다. ’
 
책 표지를 한참 들여다보았다. 이 책은 그 어떤 여행기와도 닮지 않아있을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다.
터키 이스탄불에서 시리아, 인도, 티베트, 버마(미얀마), 중국, 홍콩, 한국을 거쳐 일본 고야산까지 400여 일간의 작가의 여정에서 도시의 모습이 아닌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과 죽음이 보인다. 여행자의 시선으로 만나기 힘든 사창가, 시장, 슬럼가의 사람들의 삶의 냄새가 느껴진다. 책을 읽는 내내 글을 읽고, 사진을 보고, 그리고 강렬하게 냄새를 맡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이스탄불의 바다 바람 냄새가 느껴지고 음식들의 냄새가 생생하고. 시장의 비릿한 생선냄새와 길에서 나는 썩어가는 냄새가 느껴진다. 썩어가는 도시의 냄새까지도 작가는 사랑스럽다고 말한다.
 
방랑의 사전적 의미는 정한 곳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이다. 책을 읽고 나면 왜 제목이 동양여행이 아닌 동양방랑인지 알 수 있다. 그의 발걸음은 여행이 아니라 방랑이다. 정해진 일정도, 목적도 없다. 우연히 보게 된 음란서적 표지에서 본 여성을 찾기 위해 터키 안탈리아에서 앙카라로 무작정 찾아가고, 흑해가 정말 검은 물인지 궁금해서 무작정 배를 타고 떠난다. 갑자기 속세를 벗어나고 싶은 마음에 티베트의 산속 깊은 사원으로 들어간다. 작가의 발걸음은 동양의 어느 곳을 항상 방랑하고 있었다.
 
방랑에서 그는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이스탄불에서 만난 엄청난 에너지로 음식을 먹는 여자를 만난다. 그녀가 먹는 코윤 바쉬(통째로 구운 산양의 머리를 반으로 자른 요리)의 사진 만큼이나 강렬한 에너지가 느껴지는 사람이다.
 
티베트 라디크 산사에서 자신의 한계를 만나고 40대가 되어 산사에서 도망치는 승려와 40년 동안 산사에서 달아난 승려들을 모두 기억하고 있는 노승을 만난다. 산사에서 내려 오는 날 작가가 찍은 사진의 노승의 표정에 한참을 눈을 땔 수가 없었다.
 
우연히 음란 서적의 표지를 보고 사진을 찍어야겠다는 마음 하나로 찾아 나선 트렌스젠더 매춘부 하산 타스데미르. 공무원으로 평범한 삶을 살아가던 남자는 어느 날 성전환수술을 하고 가수, 매춘부로 살아가다 팔려가고 스스로 지중해 밑바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녀의 이야기가 계속 마음 한구석에서 남아 사라지지 않았다.
 
버마에서 만난 아무런 조건도 없이 자신들의 나라를 찾아온 이방을 위해 땀을 흘리며 해님의 그늘을 만들어준 아이들의 모습에 미소가 지어진다.
 
상하이에서 만난 게의 참극은 어딘지 쓸쓸하고 잔혹하며, 동생과 함께 성공한 삶을 꿈꾸며 중국에서 돼지 방광을 몸에 묶고 바다를 헤엄쳐 홍콩으로 온 유광은 14년이 지나도 마약 운반을 도우며 방 한 칸에서 살고 있지만 왠지 나에게 그는 웃고 있는 모습으로 떠오른다.
 
그리고 작가에게 판소리로 기억되는 한국. 1981년의 도시의 풍경은 나에게 너무나도 낮설다. 이미 너무나도 달라져버린 청량리의 예전 풍경을 머릿속에 그려보게 된다.
 
작가가 여행을 했던 1980~1981년에서 어느덧 40여년의 시간이 흘렀다. 많은 모습들이 현재와 많이 다르지만 그 속에는 그때나 지금이나 사람의 모습이 보인다. 생생한 묘사와 직접 내 눈으로 보고 있는 것 같은 웬지 익숙한 시선의 사진들은, 어떨 때는 거북할 정도 솔직하고 감정적이다. 초점이 흐린 사진들은 외롭고, 슬프고, 강렬하다.
 
그는 1여 년 동안의 여행에서 만난 각 나라의 사람들을 표정으로 기억한다. 터키의 사람들은 심각하고 검소한 표정으로, 이슬람 국가의 사람들은 분노의 표정으로, 불교국인 버마(미얀마), 태국은 조용한 미소로, 중국 사람들의 표정은 포커페이스, 그리고 한국은 유교적 미소로 말이다. 40여 년 전 이 여행의 마지막에서 작가는 서양 물질문명의 추종자가 된 일본을 안타까워하고 멀지 않은 미래에 발광하게 될 것이라 염려한다. 하지만 예전에 각각 다양한 다른 표정을 가졌던 나라들 역시 이제는 그가 말한 일본의 모습과 많이 닮아져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에 마음 한편이 씁쓸해진다.
 
여행의 마지막 고야산에서 정리하는 동양과 일본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여행서라기 보다 철학서에 가깝다. 서아시아와 동아시아의 세계를 광물적 세계와 식물적 세계, 이슬람과 힌두, 불교의 세계로 바라보는 작가의 관점은 종교와 지리적 요인, 환경이 그 나라의 문화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하지만 나에게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역시 사람이다. 사람의 모습은 결국 그 나라의 문화의 모습이기도 하다. 많은 나라의 사람들을 보고, 느꼈다.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면서 40년이 지난 지금 우리의 모습을, 그리고 나의 자아에 대해 생각해본다

 

 

좋은 것도 싫은 것도 있는 그대로 볼 것. 선악과 미추가 뒤섞인 곳에 세계가 있다. 나는 그 모든 것을 똑똑히 지켜볼 작정이다. (P48)

사람이 살면서 몇 번의 고비를 만나듯이 여행에도 빙점이 있다.
여행 초기의 뜨거웠던 피는 식고 마침내 그것이 임계점에 도달했을 때 얼어붙는다.
눈앞에 나타나는 모든 인간을 일생일대의 인연으로 여기고 소중히 대하기로 했다.
변두리 유곽의 창녀에서 심산에 틀어박힌 스님까지 그 어떤 인간이든 철저히 사귀기로 했다.
여행의 중반, 갑자기 나는 회생했다.
또다시 인간이 한없이 재미있어졌다.
얼어붙은 여행이 녹기 시작했다.
나 자신을 되찾았다.
누구에게나 ‘빙점’은 있다.
반드시 찾아온다.
인간의 빙점을 녹이는 것은 인간이다. 인간의 체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