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페르시아어 수업
마리암 마지디 지음, 김도연.이선화 옮김 / 달콤한책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페르시아어라는 단어를 들으면 천일야화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깊은 밤 폭신한 이불 속에서 신비로운 이야기를 듣는 기분. 나에게 이란이라는 나라는, 페르시아어라는 언어는 그렇게 어딘가에 존재하는 환상적인 존재였다.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인 이 소설은 이란이라는 나라에 대한 궁금증과 두 문화권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의 무게를 느끼게 해 주었다.

두 문화권에 속한다는 것은 즐거운 일일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해 본적이 있다. 접하는 언어도, 문화도 다양하다는 것은 그 속에서 더 많을 것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두 나라 어디에도 완벽하게 속할 수 없다는 것이기도 하다. 작가 마리암 마지디는 이란의 테헤란에서 태어난 혁명운동을 하던 부모님과 함께 어린 나이에 프랑스로 망명했다.

처음 도착한 낮선 곳에서 소녀는 변화를 거부하려 하지만, 프랑스에서 페르시아어를 말해도 아무도 대답해주지 않고, 아무런 소용도 없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페르시아어를 마음 깊은 곳에 숨겨 놓고 프랑스인이 되고자 했다. 프랑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한 그녀는 그 곳에서 영원히 이방인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버지는 그녀가 이란을 잊길 원하지 않았다. 집에서는 페르시아어를, 밖에서는 프랑스어를. 두 개의 언어 속에서 어디에도 정착할 수 없었던 그녀는 두 개의 정체성을 가지고 성장한다.

이 책은 첫 번째 탄생, 두 번째 탄생, 마지막으로 세 번째 탄생으로 된 세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녀는 이란혁명의 격렬한 투쟁 속에서 어머니의 자궁 안에서 죽음을 경험하며 태어났다. 두 번째, 그녀의 부모님은 그녀를 위해, 그리고 그들의 삶을 위해 프랑스라는 먼 나라로 망명을 떠나면서 프랑스 인으로 다시 태어난다. 세 번째 탄생. 성인이 된 그녀는 이란으로 돌아가고 그 곳이 자신의 나라라는 사실을 몸으로 느낀다.

소녀가 처음 파리에 도착했을 때 배가 고팠지만 아버지가 사다 준 크루아상을 먹지 않았다. 이란의 전통 빵 라바쉬나 산가크가 먹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른두 살이 된 그녀는 중국에 거주하면서 파리의 크루아상을 그리워한다.
성인이 되어 이란의 위대한 시들을 사랑하게 되고, 다시 페르시아어를 배워 이란으로 돌아가지만, 그 나라의 사람들을 사랑하고, 시를 사랑하면서도, 이란이라는 나라의 폐쇄되어 있는 문화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곳에 거주하는 친척들과 같은 완전한 이란 사람이 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프랑스에서도 마찬가지다. 카페에서 모르는 프랑스인이 직업을 묻자 자신을 ‘프랑스어 교사인 프랑스인’이라고 소개하지만 그들은 웃음을 터트린다.
 
23세 돌아간 이란을 거쳐, 중국, 터키에서 오랫동안 거주했던 그녀는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 다문화자녀들에게 프랑스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이란인이며 프랑스인이고, 그렇기 때문에 디아스포라의 슬픔을 안고 그 어느 곳에도 완벽하게 속할 수 없었던 그녀의 슬프고 아름다운 삶의 이야기는 아름다운 시처럼, 어렸을 적 들었던 동화처럼 펼쳐진다. 그 이야기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그녀의 여행은 언어와 나와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해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