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고 싶지 않을 권리가 있다 반올림 29
미카엘 올리비에 지음, 윤예니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말 저녁, 가족관계증명서를 챙겨야 아이는 아빠에게 발급을 부탁했고 아빠는 주말이라 안된다고 했다. 아이는 월요일에 당장 필요한 것인데 어떡하냐고 되받아쳤다. 그리고 말 끝에 “돈이면 안되는게 있어? 어서 해 줘”라고 말했다. 그 자리에 있던 모두는 얼어 버렸다. 물론 아이는 가족관계증명서를 돈을 내면 살 수 있는 물건이라 생각했다고 해명했지만 문장에 텍스트만 보면 그 뜻이 아닌것 처럼 느껴졌다. 나는 그것이 부모의 경제력과 관계없이 요즘 아이들에 경제관념이자 자본을 대하는 태도라 느껴졌다. 직접 돈을 만져볼 일도 많지 않을 뿐 아니라 계산을 하면서 품목별 금액이 얼마인지 알려고 들지 않는다. 부모의 카드로 결제를 하면 되니 굳이 모자라는 돈을 계산하며 들었다 놓았다 하는 고민에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사례를 들어보겠다.

아이를 어떻게 성교육 할 것인가? 고민을 하던 차에 부모 성교육에 다녀왔다. 강사님은 연령별 성교육이 다른데 돈의 개념과 물가를 어느 정도 계산할 수 있는 연령의 아이들에게는 기저귀 가격과 분유 가격을 먼저 묻는다고 하셨다. 질문은 현실적 책임에 대한 부분인데 상당수 아이들에게 돌아오는 답변도 위의 가족관계증명서 사례처럼 비현실적인 답이 돌아온다는 것이다. 가령 갓난 아이를 키우는데 한달에 100만원이 필요한다고 가정 했을 때 “학원 하나 그만두면 되지 않을까요?” 와 같은 대답처럼 말이다.

소비에 고심이란 단계가 생략되고 있는 것 같다. 오히려 경쟁하듯 사고 그 사람의 몸에 닿아있는 물건 금액으로 부의 척도가 매겨진다. 부유함이 나를 바로 세우는 힘이 되는 것과 사치를 하는 것은 개념이 다르지만 요지는 검소함이 더 이상 미덕이 아닌 것 같다는 것이다. 너나 할 것 없이 대부분의 매체에서 넓은 집, 좋은 가구, 고가의 자동차를 가진 사람들만 노출되니 그것을 갖고 있지 못한 사람은 현대인 적격심사에서 낙방한 것 같은 좌절감을 겪게 된다. 나는 그것이 소비조장에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사고싶지않을권리가있다 라는 책을 되도록 많은 청소년들에게 권하고 싶다. 뿐만 아니라 쌓이는 물건을 보며 내가 왜 이렇게까지 소유하려 하는지 나를 잘 모르겠는 사람들에게도 건네고 싶다. 이 책을 탐독한 다음 내려놓음과 동시에 물건으로 나를 증명하지 않아도 될 방법이 무엇인지 찾는 고민에 빠진다면 더 없이 좋겠다.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은 부디 절친한 친구의 SNS속 명품백이 불행 요소가 아니길 바래본다 #바람의아이들 #호수네책 #책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