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나와 아레스 - 제17회 '마해송 문학상' 수상작 문지아이들 166
신현 지음, 조원희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종적이고 반기를 들지 않지만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것에 수동적인 사람과 거부와 반항이 잡음을 만들지만 자신만의 언어로 이야기하는 사람. 우리가 어떤 모습이든 모두는 행복추구권을 가지고 있다. 권리를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행복이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결과가 다를 수 밖에 없을테지만 나는 어떤 방향으로든 마음과 생각을 꺼내어 표현하는 쪽이 행복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는데 그 편에 선것은 아레스 이다.

잡음 조차 소통의 의지이자 자신을 피력하려는 도구인데 착함 혹은 순종적이라는 말에 갇히면 잡음을 내는 것을 스스로 죄악시 하게 된다. 그것에 이견이 없고 만족한 채 살아가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훈련되지 않은 방식으로 마음의 한계를 표현 했을 때 내가 믿는 사람들 조차 간과하거나 혹은 알아채지 못한다. 결국 홀로 감당해야 했던 기대를 견디지 못하고 비극적이게도 자멸을 선택한 쪽은 아테나 이고 말이다.

그리고 그 두 필의 말 사이에는 품으려는 새나와 회피하려는 루나를 비롯한 믿어주는 사람, 지켜주는 사람, 기다려주고 응원해주는 사람. 그리고 존재만으로 의지가 되는 사람들이 있다. 사람들의 촘촘한 관계 속에 놓인 두 필의 말 #아테나와아레스 는 결말까지 동물로 존재하지만 내게는 책 속 인물들을 이어주는 통로이기도 매게이기도 한 인격처럼 느껴졌다.

우리는 견주어진다. 의도되지 않은 경쟁속에 내던져 지는 경우도 있고, 작정된 비교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견주어짐에 당당할수 있는 자아를 가지고 시련을 겪어 나가는 것에 두려움이 없길, 시련이 오면 부탁하고 응석을 부리고 반항을 하기도 하며 다듬어지는 어린이들이 많아지면 좋겠다. 거기에 #아테나와아레스 책에서 처럼 믿어주고 지켜주고 응원해주는 덕목을 지닌 어른이 아이들 손을 뻗을 수 있는 곳곳에 많아지길 꿈꿔본다 #문학과지성사 #문지아이들 #마해송문학상 #호수네책 #책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