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에 있다는 것 (양장)
김중미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어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된다. 나는 김중미 작가님의 #존재,감 이란 책을 #괭이부리말아이들 보다 더 인상 깊게 읽었다. 그도 그럴것이 부모가 되었고 연대에 대한 의식이 싹텄고 공동체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존재,감 에서 담고 있는 이야기를 사각지대의 아이들의 이야기라고만 생각했다면 그 조차 나의 오만이였다.

오디오 동화를 듣던 호수가 말했다. "거지가 뭐야? 아! 맞다. 가난한 사람이구나!" 동화를 듣다보니 이야기의 맥락상 거지는 가난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던거 같다. 가난은 상대적이고 가난한 사람이 거지가 아니라고 말했다. 엄마도 아빠도 열심히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하고 있지만 어떤 관점에선 가난한 사람일수 있고 원하는걸 가지지 못한다고 해서 가난한것도 아니며 우리는 부자에 속하지도 않는다고 말이다.

'걱정이야, 문제야'라고 일컬어지는 사회현상들은 시대를 반영하는 삶이다. 국한된 부류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누구도 그것과 멀어지고 있다 속단 할 수 없다. 상상이나 했는가 - 항공사가 폐업을 할거라곤 말이다. 우리는 공동체 속에 살고 있고 공동체와 함께 유기적 존재로 살아간다. 자본으로 연결된 물적공동체 역시 공동체이고 우리는 공동체 속에서 사회를 배운다. 동정이나 간섭, 그리고 무관심이 아닌 내게 일어날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연대의식이 아닐지 생각해본다.

내가 그림책 이후 아동,청소년문학을 읽게 된 구심점을 들여다본다. 그림책으로 앞으로 던져야할 이야기들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글이 해낼 수 있고 글을 읽을수록 깊어지는 것들이 있다고 생각했다. 영유아에서 아동으로 가면서 좁아지고, 아동에서 청소년으로 갈수록 또 한번 좁아지는 것 같았다. 삶의 대화들이 고스란히 담긴 따뜻한 이야기를 많은 분들과 특히 청소년 그리고 청년들과 함께 읽고 싶다. 고맙습니다 #곁에있다는것 #창비 #호수네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