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수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 삶의 해를 구하는 공부
카를 지크문트 지음, 노승영 옮김 / 윌북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참 도발적이라고 생각했다.
수학을 사랑하는 이유나 방법도 아니고
<어떻게 수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라니,
정말 어떻게 수학을 사랑할 수가 있을지 궁금해서,
순수한 호기심에서 이 책을 펼쳤다.

물론 이런 책을 써내려간 수학자의 마음이 이해는 된다.
내가 역사 교사라고(였다고) 하면
왜 역사를 좋아했는지, 어떻게 역사를 잘 했는지,
본인은 역사가 너무 어렵고 싫고 힘들었다는 분들이 많았다.
그리고 나이가 좀 있으신 분들은 대부분 이렇게 덧붙였다.
요즘은 역사가 재미있다고.
그러면 나는 얘기한다.
'입시'를 뺀 '진짜 역사'는 정말 재미있다고.

이 책을 읽으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학도 약간 그런 느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난 수포자도 아니고 수학을 잘했지만(이과 수학 수능 1등급이었다)
수학 사랑은 커녕 좋아한 적도 없었다.
그냥 했을 뿐이고,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은 생각도 안 난다.

하지만 수학은 잘못이 없다.
잘못은 우리의 입시제도... 하하;;
(물론 기초가 없으면 이 책에 나오는 수많은 수식과 철학을 논하기는 커녕 이해하는 것조차 어렵겠지만)

이 책을 옮긴이의 글에서처럼
고등학교 입시를 치르기 전에 이 책을 먼저 읽었다면
수학을 전공하고 싶었거나, 수학을 좀 더 사랑했을지도.

이 책에 '무엇에도 변명하지 말 것'이라는 소제목이 있지만
이 책은 수학을 위한 변명일지도 모르겠다.

"너희 대부분이 배우고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수학은 진짜 수학이 아니야.
수학은 사유이며, 철학이고, 이 세상의 문제를 명료하게 풀어가는 착하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학문이란다."
라고...

지극히 평범한 보통 사람인 나는,
이 책을 읽고도 사랑...까지는 모르겠다.
좋아하..는 것도 쉽지는 않을 것 같다.

그렇지만
수학에 대한 이해의 폭은 좀 더 넓어진 것 같고
수학에 대한 오해도 많이 없어진 것 같다.

500여 쪽을 수학에 대한 철학적 이야기로 빼곡하게 채울만큼
수학과 철학, 사유, 삶은 다채로운 이야기로 가득하다.

컴퓨터와 AI가 발전하면서 요즘은
영어/수학 중에 수학 공부에 더 비중을 둔다고 한다.
(영어는 번역기가 충분히 잘 되어 있어서, 그 번역 기능을 가진 컴퓨터를 만드는 학문인 수학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로)

기능만을 위한 수학이 아닌,
사유하는 수학으로,
수학의 시작과 본질을 놓치지 않기를 바래본다.


+ 출판사 피드에 "이 땅의 많은 수포자에게 권한다"던데

수포자가 이 책을 읽고 수학을 사랑하게 될 확률과
수포자가 이 책을 읽기를 시도하다가 수학을 더 힘들어 할 확률 중

전자가 더 높다고 생각하는 자신감! 이 있는 책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