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항상 당하기만 하는 걸까
감성대디(성현규) 지음 / 모티브 / 2025년 2월
평점 :
힘든
시기에 감성대디 님의 영상을 보며 큰 위로를 받았던 터라, 신간 『나는 왜 항상 당하기만 하는 걸까』에 대한 기대가 컸습니다.
단순히 감정적인 위로를 넘어, 현실적인 인간관계에서 나를 보호하고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책을
펼쳐보니,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조언들이 가득했습니다.
이
책은 단순히 감정적인 위로를 넘어, 현실적인 인간관계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상대방의 무례한
행동에 침착하게 대응하는 법, 부당한 말싸움에서 논리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법, 직장 내 부당함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 등
구체적인 상황별 대처법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을 존중하는 방법을 통해 건강한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순류에 역류를 일으킬 때 즉각 반응하는 것은 어리석다. 상대가 역류를 일으켰을 때 나의 순류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의 처지에서 보면 역류가 된다.
"상대방의 무례한 행동이나 말은 역류와 같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그 역류에 휩쓸려 떠내려가는 대신 나의 순류를 유지하는 것, 즉 반응하지 않고 침착하게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구절은 제게 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 과거에는 상대방의 부정적인 감정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스스로를 소진했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감정적인 동요 없이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나의 중심을 잃지 않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습니다.
책을
읽으며, 종교적인 이유로 선하게 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으로 사람들에게 지나치게 배려했던 과거의 제 태도에서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과도한 배려로 인해 자신을 소홀히 했던 경험을 통해, 건강한 인간관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과 무조건적인 희생이 아닌, 균형 잡힌 배려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모두
존중해야지만 건강한 관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줍니다.
또한,
어른이 어른답지 않고, 형이 형답지 않으며, 선배가 선배답지 않다면, 그런 사람을 굳이 예의로 대할 필요는 없다는 말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조연이나 아랫사람처럼 여겨 함부로 대한다면, 그 사람부터가 이미 예의를 모르는 사람이고 공자는
‘예가 없는 사람에게 예로 대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예의란 그것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만 하는 것이며 무조건 지시를
따르는 건 단지 형식적인 것일 뿐, 진정한 예의라고 할 수 없다는 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때로는 나이와 직급에 상관없이, 부당한
행동에는 흔들림 없이 단호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나는
왜 항상 당하기만 하는 걸까』는 타인에게 휘둘리던 삶의 주도권을 되찾고, 인간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감성대디 님은 따뜻한 공감과 현실적인 조언을 주는 친구처럼, 일상 속 갈등과 고민에 대한 명쾌한 해법을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용기와 지혜를 전해줍니다. 이제는 단호함과 존중 사이의 섬세한 균형을 찾아, 나 자신을 온전히
사랑하고 존중하며 당당히 살아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