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 상·청춘편 - 한 줄기 빛처럼 강렬한 가부키의 세계
요시다 슈이치 지음, 김진환 옮김 / 하빌리스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 #서평


>>
낡은 무대 뒤편에서 북소리가 울리고 조명이 켜지는 순간, 화려하고 아름답게 꾸미고 나온 여장 배우가 노래와 몸짓으로 이야기를 표현하는 전통 연극, 가부키.
소설 <<국보>>는 바로 그 숨 막히는 무대 뒤의 인물들을 그린 작품이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전통 예술 가부키는 점점 잊혀지고 있지만, 그 속에서 꺼지지 않는 불꽃을 품은 소년의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었다.

그 소년의 이름은 타치바나 키쿠오.
1964년 새해, 나가사키에서 태어난 그는 남다른 미모 덕분에 사람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지만, 그의 삶은 처음부터 순탄하지 않았다. 야쿠자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열네 살에 조직의 몰락과 아버지의 죽음을 겪으며 모든 것을 잃는다.
복수를 꿈꾸지만, 세상은 만만하지 않았고, 결국 그는 모든 것을 뒤로하고 오사카로 떠난다.
그곳에서 그는 가부키 배우 하나이 한지로의 집에서 살게 되면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게 된다.
가부키라는 세계는 화려해 보이지만, 무대 뒤에서는 뼈와 마음이 닳아 없어질 정도의 연습과 인내가 필요했다.
키쿠오는 한지로의 아들인 배우 슌스케와 함께 수련을 받으며 성장한다. 두 사람은 서로를 자극하고, 넘어서려 하고, 때로는 의지하며 마치 형제 같은 관계가 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고, 한지로가 차기 후계자를 결정해야 하는 순간이 오자 두 사람의 운명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이 소설은 가부키 연극과는 달리 이야기 속도가 빠르다. 인물들의 갈등, 다양한 도시의 등장, 시대상을 엿보게 하는 장면 묘사 등이 단편 영화 속 장면처럼 빠르게 전환해 가독성이 좋다.
게다가, 드라마틱한 인물의 갈등이나 성장스토리만 다루지 않고, 전통을 지키는 사람들의 고뇌와 아픔을 다룬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빠르게 변하는 시대 속에서 오래된 것을 지킨다는 건 낭만이 아니라 전쟁 같았다. 때로는 세상이 원하는대로 비위를 맞춰야 했고, 게다가 자기 자신도 극한의 고통으로 밀어넣어야 했으니까.
키쿠오나 한지로가 무대 위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내는 이유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슌스케는 끝까지 가부키를 놓지 못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소설은 독자에게 순수한 질문을 던지게 한 후, 인물들이 보여주는 삶을 통해 답을 찾게 한다.

가부키라는 생소한 소재를 다룬 작품이지만, 선택 앞에서 흔들리고, 인정받고 싶고, 포기하고 싶다가도 다시 일어서야 하는 우리가 사는 모습과 다를 게 없었다.
다만 그들의 마음 속에 무엇을 품고 있느냐만 달랐을 뿐. 그래서 더욱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었다.
화려한 가부키 무대 뒤, 우아한 백조처럼 보이기 위해 아등바등거리는 그들의 이야기를 직접 확인해 보시길 바란다.



>>
>밑줄_p79
여기서 단상까지는 5미터 정도, 달려 나가면서 단도를 빼 들고 단상에 뛰어오르는 데 필요한 시간은 일이 초 정도입니다. 키쿠오는 미야지파 회장의 배에 단도를 찔러넣는 자기 모습을 머릿속으로 거듭 상상했습니다.



>밑줄_p124,125
" (...) 그러니까 우선은 뼈로 기억해야 한다. 그렇게 미에 자세를 취한 상태로 계속 있으면 힘들지? 어깨가 막 부들부들 떨리지? 바로 그거야. 팔을 어디까지 올리면 떨리기 시작하는지, 너희가 아슬아슬하게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자세를 뼈로 기억하는 것이다."
그렇게 말하면서 먹물을 듬뿍 묻힌 큰 붓을 들고 온 한지로가 키쿠오의 견갑골에 선을 쭉 긋더니...
"이 뼈다. 이 뼈가 기억해야 한다."



>> 이 서평은 니들북(@i_am_needlebook) 서평단 자격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국보_상 #청춘편 #요시다슈이치 #하빌리스
#장편소설 #일본소설 #전통계승 #가부키 #전2권
#영화_국보_원작 #베스트셀러 #페이지터너
#책추천 #소설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