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난중일기 코드 - 류성룡과 이순신의 위대한 만남
김정진 지음 / 넥스트씨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 #서평



>>
임진왜란이 끝나가는 1598년 11월 19일, 노량의 바다에서 이순신은 전사했다. 같은 날, 조선을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영의정 류성룡도 파직되었다.
전쟁의 최전선과 조정의 중심에서 나라를 지켜낸 두 사람이 같은 날 사라진 순간, 왕 선조가 남긴 말은 단 하나였다.
“알았다.”
이 책 <<징비록 × 난중일기 코드>>는 바로 그날에서 시작한다.
왜 나라를 구한 두 사람은 외면당했는가.
그리고 그들은 무엇을 기록하고 무엇을 남기려 했는가.

전쟁이 끝난 후 류성룡은 고향으로 돌아가 <<징비록>>을 집필했다. 그는 책 속에 세 가지 메시지를 숨겼다.
첫째, 이순신의 전투와 삶, 죽음을 정리한 최초의 전기.
둘째, 왕의 추악한 민낯을 드러낸 ‘조선의 군주론’.
셋째, 명나라 의존이 아닌 자주국방 호소.
430년이 지난 지금 ‘징비록 코드’를 해석한 이 책이 출간된 것이다.

이순신의 <<난중일기>>는 전쟁 한복판에서 남긴 기록이다.
전투의 승리, 부하의 죽음, 배신과 고문, 아들의 전사 소식을 들은 날조차 그는 담담하게 기록했다.
붓을 들 수 없을 만큼 참혹한 상황에서도 기록을 멈추지 않았던 이유는 오직 자신의 신념을 굳건하게 지키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이 책은 두 기록을 교차로 읽으며, 조선의 바다와 조정이라는 서로 다른 전장을 살아낸 두 리더의 정신과 신념을 한 서사로 연결한다.
류성룡은 국가의 전쟁 상황을, 이순신은 전쟁을 겪으며 느끼는 감정을 기록했지만, 두 사람의 글이 만나는 순간, 그것은 과거를 기억해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말라는 두 영웅의 뼈아픈 충고가 되었다.

개탄스러운 사실은 <<징비록>>이 조선에서는 외면받았지만, 일본에서는 1695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점이다.
일본은 <<징비록>>을 통해 패전의 원인을 공부하며 군사력과 국가 시스템을 정비했다. 그러나 조선은 아무것도 징비하지 않았다.
그 차이로 300년 후, 우리나라는 타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왜 우리 선조들은 징비하지 않았을까?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반성하고 대비할 순 없었을까?

<<징비록 × 난중일기 코드>>는 과거의 기록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청소년에게 특히 이 책을 추천하고 싶은 이유는 바로 어떤 리더가 되어야 하는지, 자신의 신념을 위해 얼마나 강하게 버텨야 했는지 역사의 기록을 통해 배울 수 있다는 점이다.
미래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이 이순신과 류성룡이라는 두 영웅을 통해 어떤 미래를 설계할지 궁금해진다.




>>
>밑줄_p10
<<징비록>>이 임진왜란의 전체 상황을 입체적으로 알려준다면, <<난중일기>>는 전쟁의 한복판에서 한 인간이 경험하는 모든 감정을 숨김없이 보여주죠. 그래서 <<징비록>>과 <<난중일기>>는 모두 임진왜란을 바탕으로 집필되었지만, 전혀 다른 색깔의 책이 되었습니다.


>밑줄_p35
선조는 나라를 버리고 도망친 자신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이순신이 왕권을 위협할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니 가만둘 수 없었죠.
게다가 일본군을 피해 숨었던 군인들과 백성들이 전라도의 이순신에게 모여들었습니다. (...)
선조는 백성들이 자신을 버리고, 이순신을 선택할까 봐 두려웠던 겁니다. (...)
그래서 선조는 이순신을 반드시 죽이기로 작정했던 것입니다.





>> 이 서평은 럽북(@lovebook.luvbuk) 서평단 자격으로 넥스트씨(@nextc_pub)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아 작성되었으며, 솔직한 감상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정비록난중일기코드 #김정진 #넥스트씨
#임진왜란 #정비록 #난중일기 #류성룡 #이순신
#책추천 #청소년추천도서 #역사서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