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자는 알고 있다 - 5500명의 죽음과 마주한 뉴욕 법의조사관의 회고록
바버라 부처 지음, 김효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5년 10월
평점 :
#협찬 #서평
>>
평소에 <크리미널 마인드>나 <CSI> 같은 범죄 수사 드라마를 즐겨본다.
드라마 속에서는 법의학자가 직접 현장에 나가 증거를 수집하고 범인을 추적하지만, 실제로는 ‘법의조사관’이라는 직업이 따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현실의 수사 현장은 드라마보다 훨씬 냉정하고, 그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사명감은 생각보다 뜨거웠다.
바버라 부처의 <<죽은 자는 알고 있다>>는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살인사건 파일 뉴욕>의 원안이 된 실화 바탕의 논픽션이다.
저자는 10대 시절부터 알코올 중독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지만, 끝내 그 어둠을 이겨내고 뉴욕시 법의학 검시국의 법의조사관이 된다. 이후 23년 동안 5,000건이 넘는 사망 사건을 조사하며, 부검실에서부터 범죄 현장까지, 죽은 자가 남긴 마지막 흔적을 읽어내는 일을 해왔다. 그녀가 써 내려간 이야기 속에는 우리가 미처 몰랐던 사건 현장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속의 현장은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생생하다.
사건 현장의 냄새, 긴장감, 그리고 때로는 절망까지 적나라하다.
하지만 저자는 시체를 단순한 증거가 아니라, ‘누군가의 인생이었던 존재’로 바라보며, 죽음에서 누군가의 마지막 순간이었던 삶을 찾는데 매진했다.
특히 9·11 테러 당시의 기록은 읽는 내내 숨이 막혔다. 상상조차 하기 힘든 참사 속에서도 그녀는 끝까지 현장을 지키며, 희생자들의 마지막 흔적을 세심하게 기록했다. 그 부분에서 필자는 존경과 감동을 동시에 느꼈다.
사건 현장을 묘사한 가운데, 자신이 알콜 중독자였던 사실을 고백한다. 얼마나 무너졌었는지, 얼마나 사람답게 살지 못했는지, 얼마나 바닥이었는지.
하지만 그 경험이 법의조사관이라는 직업을 만나게 했으니, 운명이란 참 얄궂다.
법의조사관이라는 직업의 냉정한 현실 뒤에는, 한 사람의 회복과 성장이 있었다. 그녀의 이야기는 끝났을지 몰라도, 그 도전과 용기는 많은 독자들에게 귀감이 될 만하다.
<<죽은 자는 알고 있다>>는 단순히 범죄 수사 기록을 담아 독자의 호기심만 만족시키는 책이 아니다.
삶의 어두운 면을 맞닥뜨리고도 다시 일어서는 용기, 그게 진짜 힘이라는 걸 저자는 직접 증명한다.
한 법의조사관의 묵직하고도 진솔한 회고록.
법의조사관이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한 독자에게는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고, 인생이 마음대로 풀리지 않아 실망하고 있는 분에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나아가야 할 이유를 보여주는 책이라 추천한다.
>>
>밑줄_p71
부검을 마친 후 법의학자는 '사인'란에 '둔기에 의한 두부 외상'이라고 적었을 것이다. 하지만 사망 유형은?
(...) 살인범이 있는 경우, 경찰은 누가 피해자를 사망에 이르게 했는지 찾아야 한다. 법의학자는 사인 즉, 무엇을 밝혀낸다. 내 일은 어떻게 사망했는지 즉, 사망 유형을 규명하는 것이다. (...)
나는 법의학자의 눈과 귀를 대신해, 사망 유형을 특정하기 위한 증거를 수집한다.
>밑줄_p80
증거가 가리키는 것을 해석하고, 거기에서 사망 유형을 밝혀내는 것, 그게 내가 하는 일이다.
죽은 자도 이야기를 한다. 우리는 그저 귀를 기울이면 된다.
>> 이 서평은 AK커뮤티케이션 (@ak_communications)로부터 협찬 제안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죽은자는알고있다 #바버라부처 #AK커뮤니케이션
#법의조사관 #실화논픽션 #바버라부처 #살인사건파일뉴욕 #삶과죽음의경계
#신간도서 #신간소개 #책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