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판정위원회
방지언.방유정 지음 / 선비와맑음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 #서평



>>
<<뇌사판정위원회>>는 제목에서부터 팽팽한 긴장감이 전해진다.
‘뇌사’라는 단어는 생명과 죽음의 경계를 떠올리게 하고, ‘판정'은 인간이 감히 신의 영역을 침범하려 한다는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이 작품은 병원 안에서 벌어지는 뇌사 판정 과정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욕심과 책임, 그리고 양심이 부딪히는 모습을 긴장감 있게 그려낸 "하드보일드 메디컬 스릴러"다.

이야기는 명진의료원의 부원장 오기태가 뺑소니 교통사고로 뇌사 상태에 빠지면서 시작된다. 장기 기증 절차에 따라 뇌사판정위원회가 소집되고, 여섯 명의 위원들이 모인다.
하지만, 이 사건은 단순한 교통사고가 아니었다.
누군가의 욕망과 두려움, 책임 회피의 마음이 뒤섞여 일어난 계획적인 "사건"이었다.
바로 신경외과 의사 차상혁이 모든 사건의 주범이었고, 그로 인해 등장인물들 역시 다시는 되돌릴 수 없는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는데....

이 소설은 여러 사람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펼쳐쳐, 여섯 명의 위원들이 같은 사건을 제각각의 시선으로 묘사한다.
마치 여러 대의 카메라가 다양한 각도로 "한 사건"을 비춰주고 있는 것처럼. 또한 장면이 빠르게 바뀌고 대사가 리듬감 있게 이어져서, 마치 드라마를 보는 듯하다.
가독성 좋은 페이지터너 작품이다.

긴장감 넘치는 작품으로만 소개하기엔 담고 있는 메시지가 묵직하다.
뇌사 판정을 위해 모인 위원회의 모습은 우리가 실제로 그런 상황에 놓였을 때 어떤 판단을 내릴 수 있을지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만든다.
누군가의 죽음을 결정하는 일이 비록 의학적인 문제일지라도 얼마나 큰 책임이 뒤따르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인간이란 존재가 얼마나 쉽게 자기 이익을 위해 양심을 숨기는가. ‘이성적인 판단’이라 포장하며 자기합리화하는 그들이, 한 인간의 생명을 좌지우지한다는 게 어불성설이었다.
그래서 이 소설의 결말이,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라 인상깊었다.

“만약 내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과연 어떤 선택을 했을까?”
"내가 오기태였다면?"
"내가 차상혁이었다면?"

마지막까지 눈을 뗄 수 없는 소설.
생명과 인간의 본성에 대해 한 번쯤 깊이 생각해보게 만드는, 진한 여운이 남는 작품이었다.


>>
>밑줄_p16
그는 그대로 뒤돌아섰다.
상혁의 교수연구실엔 홍 간호사가 여전히 안절부절못하며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상혁은 그녀에게 의료사고를 덮고, 관련 기록물을 모두 파기하라고 지시했다.
"그건 범죄잖아요. 전 못해요. 교수님."



>밑줄_p28
어떤 경쟁에서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반드시 이기고야 마는 승부사. 빈틈없는 논리와 매혹적인 카리스마로 상대방의 심리를 거리낌 없이 조종하는 권력가. 차상혁을 잘 아는 병원 관계자들은 그를 동경하면서도 두려워했다.







>> 이 서평은 지늬의책장(@read__365) 서평단 자격으로 선비와맑음(@clear_seonbi)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아 작성되었으며, 솔직한 감상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뇌사판정위원회 #방지언 #방유정 #선비와맑음
#장편소설 #국내소설 #메디컬스릴러 #뇌사
#신간도서 #책추천 #소설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