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을 움직이는 단 하나의 질문 - 뇌과학과 심리학으로 풀어낸 실전 소통법
이수경 지음 / 지니의서재 / 2025년 10월
평점 :
#협찬 #서평
>>
필자는 대화할 때마다 “내 말투가 너무 딱딱하게 들리진 않을까?” 하고 신경 쓰인다.
상대가 불편해할까 봐, 또 내 말이 상처가 되진 않을까 봐 말을 아끼다가도, 막상 말을 꺼내면 의도와 다르게 전해지는 경우도 많았다. 오해로 인해 불필요한 말다툼을 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유독 한 사람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과의 대화가 유독 그런 이유를 찾고 싶다.
그래서 필자의 말투나 대화를 점검해 보는 시간이 필요했고, 그런 필자에게 이수경 작가의 <<마음을 움직이는 단 하나의 질문>>은 반가운 책이었다.
책에서 저자는 말하기보다 "묻는 법"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같은 질문이라도 “왜 그랬어?”는 추궁처럼 들리지만, “그렇게 한 이유가 궁금해”라고 바꾸면 전혀 다른 대화가 된다는 사례를 들어 이해를 돕는다.
그 차이를 ‘말의 기술’이 아니라 ‘태도의 온도’라고 말하며, 따뜻하게 묻는 질문 하나가 상대방의 마음을 열고 열린 마음은 관계를 바꾼다는 진실을 여러번 강조한다.
이 책을 통해 ‘대화를 잘하는 법’을 배우고 싶었는데, 읽다 보니 ‘마음을 여는 법’을 배우게 된다.
저자는 말이 통하지 않는 이유가 언어의 부족이 아니라 적절한 질문의 부재 때문임을 알려준다.
“왜?”보다는 “어떻게?”를, “맞아?”보다는 “어떻게 생각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공기의 온도가 달라진다.
필자의 경우 그저 사실을 확인하고 싶었던 것 뿐인데, 상대방의 마음을 꽉 닫게 했다는 불편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뇌는 질문의 온도를 감지한다’는 대목이 기억에 남는다. 날카로운 말투는 방어 회로를 자극하지만, 존중을 담은 물음은 사고를 확장시키고 관계를 부드럽게 만든다고 한다.
질문이야말로 상대의 마음을 여는 열쇠라는 것이다.
책을 읽은 후, 아이들과 남편과의 대화에 질문을 바꾸려고 노력했다. 처음엔 말도 꼬이고 자연스럽게 되지 않았지만, 책 속에 상황별 예문이 있어 참고하기 좋았다.
그렇게만 했을 뿐인데, 대화의 공기가 확실히 달라졌다.
책의 마지막에서 저자는 ‘질문 7일 챌린지’를 제안한다. 하루에 한 번, 스스로에게 묻는 연습이다. 이런 질문들이 내 마음을 다듬고, 말투를 부드럽게 만들거란 기대에 열심히 실천 중이다.
<<마음을 움직이는 단 하나의 질문>>은 마음을 닫은 채 살아온 우리가, 다시 서로를 이해하는 법을 배우는 책이다.
말은 그대로인데, 묻는 태도가 달라지면 관계가 변한다는 사실을 이제야 깨달았다.
그래서 오늘은 이렇게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나는 지금, 어떤 온도의 말로 누군가에게 다가가고 있을까?”
이 책을 가족 간의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뤄지지 않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다.
왜 대화가 점점 줄어드는지, 왜 대화가 부드럽게 이어지지 못하고 다툼으로 끝나게 되는지, 그 이유를 분명히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진심을 전하고 가족들의 진심을 열게 하는 질문법을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란다.
>>
>밑줄_p75
공감하며 듣는다는 것은 단순히 말의 내용을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선다. 그 말속에 숨어 있는 감정의 결을 느끼고, 말하지 못한 마음과 눌린 정서까지 함께 짊어지는 것이다. (...) 상대가 '여기서는 마음을 꺼내도 괜찮다'는 안도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말보다 중요한 것은 '감정의 숨결'을 듣는 것이다.
>밑줄_p199
자존감이 낮을수록 '틀리다'는 사실에 과도하게 방어적이다. 그러나 진짜 강한 자존감은 자기주장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데 있지 않다.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수렴하고도 자신을 잃지 않는 데 있다.
>> 이 서평은 럽북(@lovebook.luvbuk) 서평단 자격으로 지니의서재 (@genieslibrary)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아 작성되었으며, 솔직한 감상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마음을움직이는단하나의질문 #이수경 #지니의서재
#대화법 #실전소통법 #대화의품격 #말하기
#호감질문법 #질문의힘 #질문
#신간도서 #책추천 #대화법추천도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