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단편선 소담 클래식 6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임병윤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 #서평

>>
근대 탐정 소설과 단편 소설의 창시자인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선을 읽었다.
부끄럽지만 에드거 앨런 포의 대표 작품을 제대로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책에는 「검은 고양이」, 「어셔가의 몰락」, 「적사병의 가면」, 「함정과 시계추」, 「유리병에 남긴 편지」, 「모르그가의 살인」, 「도둑맞은 편지」총 7편의 작품이 실려있다.
이 중 전반부는 공포와 광기로 가득한 호러이고, 후반부 두 편은 논리와 추리를 중심으로 한 미스터리다.

포의 공포와 광기는 조용히 스며드는 게 아니라, 한번쯤 생각해 봤을 어두운 마음을 들킨 듯 불편한 공포를 맛보게 한다.
「함정과 시계추」에선 눈을 뜨는 순간 맞닥뜨린 끝없는 어둠의 공포를 가장 잘 보여준다. 어둠은 원래 존재했지만, 눈을 뜨는 순간 비로소 그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두려움이 시작된다.
「검은 고양이」나 「적사병의 가면」 같은 작품에서는 등장인물의 광기가 극단적으로 드러난다. 사람을 죽이고, 스스로 파멸로 향하는 인물들을 보며, ‘가장 무서운 것은 결국 사람’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된다. 범죄나 죽음보다 더 두려운 건, 그것을 저지르는 인간의 마음이었다.
소설을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한 건,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할 어둠을 들켜버린 것 같기 때문이다.
포가 말하는 공포란 결국 인간이 만들어내는 것, 즉 자기 안의 광기와 마주하는 순간의 섬뜩함이었다.
「유리병에 남긴 편지」는 모든 절망 속에서도 끝내 남는 건 희망을 이야기하고,「어셔가의 몰락」과 「모르그가의 살인」은 현실과 환상이 뒤섞여 이성이 조금씩 무너져 내리는 이야기로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이처럼 포의 이야기는 단편이어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이야기의 완성도가 훌륭해서, 오랜 시간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 책은 클래식 호러나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물론, 인간의 내면과 감정의 깊이를 탐구하고 싶은 독자에게도 추천하고 싶다.
오래된 이야기이지만, 지금 읽어도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 있는 공포와 여운이 있다. 포가 남긴 그 짙은 어둠 속에서, 오히려 인간의 본질을 들여다보게 되는 작품들이 소개된 <<포 단편선>>을 추천한다.






>>
>밑줄_p14
우리가 나쁜 짓이나 어리석은 행동을 수차 반복하는 것은, 다른 이유보다도 단지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우리가 아주 현명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꾸만 법을 어기고 싶은 충동이 이는 까닭도 법이란 어겨서는 안 되는 것이란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밑줄_p245
지금의 이 조류는 우리를 남극으로 데려가고 있는 것 같다. 어떤 사실을 이렇게 분명하게 추측하는 마음속에는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다는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선원들은 불안하고 두려운 발거음으로 갑판 위를 분주하게 오가고 있다. 그래도 그들의 얼굴에는 어두운 절망감보다는 희망의 빛이 역력하다.



>> 이 서평은 소담출판사(@sodambooks) 서평단 자격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포단편선 #에드거앨런포 #소담출판사
#미스터리소설 #고전소설 #단편소설 #고딕풍
#호러 #추리 #스미추
#고전소설추천 #책추천 #스미추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