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으른입니다, 게으른 - 갓생에 굴하지 않는 자기 존중 에세이
김보 지음 / 북라이프 / 2025년 8월
평점 :
#협찬 #서평
>>
데드라인이 다가와야만 일을 끝내는 사람.
미루기의 달인. 바로 필자가 그렇다.
주변에서는 “게으르다, 미리 좀 해라”라는 말을 하지만, 그게 잘 되지 않는다. 미리 시작하면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상하게도 ‘잘 하고 싶다’는 마음이 오히려 일을 뒤로 미루게 되는 아이러니에 빠지고 만다.
그런데 <<나는 으른입니다, 게으른>>을 만나며 처음으로 필자의 게으름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저자는 안정된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의 게으름을 정면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1년을 보냈다.
저자는 그 시간동안 ‘게으름’이 결코 부정적인 것만은 아님을 깨닫게 되었고, 자신의 생각을 위트 있는 글과 귀엽고 직관적인 캐릭터로 표현했다.
게으름에도 유형이 있다?
필자의 게으름에도 이름이 있었다. 각기 다른 게으름의 얼굴을 담아낸 '게으른툰'.
읽을수록 위로가 되었던 건, 필자의 모습을 늘 부정적으로 보던 관점을 새롭게 전환할 수 있어서였다.
“게으름은 나태가 아니라, 자기만의 속도로 일한다.”
나무늘보가 느리다고 해서 게으른 게 아니듯, 일을 미루는 나 역시 완전히 게으른 게 아니라는 관점이 긍정적인 기운을 더했다.
필자의 경우, 완벽하게 잘하고 싶다는 욕심 때문에 미루게 되는 사람이라 일종의 ‘완벽주의형 게으름’ 편을 읽으며 묘한 위로를 받았다.
늘 나를 질책해왔던 ‘왜 이렇게 게으르지?’라는 말 대신, “나는 내 속도대로 움직이고 있는 거야”라고 스스로에게 말할 수 있게 됐다.
책은 또, 우리가 흔히 부러워하는 ‘갓생’을 살고 있는 사람들조차 저마다의 게으름을 안고 있다고 말한다.
완벽하게 성실해 보이는 삶 뒤에도 늘 숨겨진 빈틈과 나태가 있다는 사실은, 필자를 포함한 모든 '으른'들에게 위안이 되는 사유였다.
결국 중요한 건 게으름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해하고 나만의 리듬을 찾아가는 것이 우리의 몫이었다.
게으름 때문에 스스로를 탓하며 사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해석을 건네주는 책.
필자처럼 데드라인 앞에서야 움직이는 사람, 늘 게으름을 죄처럼 여겨온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어쩌면 우리 삶에 필요한 건 ‘더 성실해지는 법’이 아니라 ‘게으름을 대하는 새로운 태도’일지도 모르니까.
"게을러도 괜찮다. 그게 바로 당신이니까."
>>
>밑줄_p21,22
모두에게 적용되는 '효율의 절대 방정식'이라는 게 있을 수가 있나? 사람마다 집중력의 정도나 방해 요인, 심지어 업무 유형도 다 다를 텐데.
그러니까 결국 게으름이란 건 어떤 부도덕이나 불량한 태도 같은 게 아니라 그저 '개인차' 아니냐는 것이다. 행동이 빠르고 느린 정도의 차이처럼. 사람마다 자신의 일하는 템포에 맞춰 최대 효율 지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밑줄_p78
<<미루는 게 아니라 예열 중입니다>> 중에서.
...일을 시작할 수 있는 나름의 스트레칭을 안하면 못 견디는 거다.
'나 아직 충분히 예열 안 됐는데?'
만족스러운 온도가 될 때까지 일은 계속 미뤄진다.
그래서 시작도 못하고 예열하다가 끝나버린적도 겁~나 많다.
결국 예열이라는 거 다시 말하면 '어르고 달래기'다.
아직도 달래줘야 움직이다니 나는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
>> 이 서평은 북라이프(@booklife_kr)서평단 자격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나는으른입니다게으른 #김보 #북라이프
#에세이 #에세이툰 #게으른유형 #자신의속도
#신간도서 #신간소개 #책추천 #에세이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