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선택, 나쁜 선택 -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데이터 바로 읽기
최희탁 지음 / 한빛미디어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좋은 선택 나쁜 선택



우리는 항상 선택의 문제에 놓여 있다. 그리고 그 선택의 순간에 우리는 어떤 것에 의존하는가? 이 책에서는 경험, 개연성, 지도자나 전문가, 다수결 그리고 데이터에 기반한 선택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데이터에 기반한 선택이라고 한다. 그러나 과학의 시대에 사는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부분을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한다. 시중에 나온 자기계발서를 예를 들며 이렇게 이야기한다.

 


‘현대 사회에서 누군가 주술을 믿느냐고 물으면 대부분 얼굴을 붉히며 자신을 모욕하지 말라고 항의할 것이다. 그런데 아이러니 한 것은 주술을 사용하여 자기 계발을 전파하는 책에 대해서는 극찬하면서 자신의 삶을 바꾸는 지표로 삼는다는 사람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은 선택에 관한 인문학적 이야기지만 결국 수학 -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확률과 통계 -에 관한 책이다. 서두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선택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이야기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옳은 선택일까? 저자는 여기에 화두를 던진다.

 

2장부터는 좋은 선택을 위한 데이터를 제대로 읽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거짓말쟁이는 데이터를 말한다 라는 유명한 말이 있듯이 데이터에 대한 가정이나 기준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그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합리적인 결과와는 다른 결론에 이르게 된다고 이야기한다.

 


‘우리가 아무리 수학적으로 명확하게 확인된 해결책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전에 그것이 어떤 조건 하에서 그것을 실제상황에 적용하기 전에 그것이 어떤 조건하에서 그리고 무엇을 가정한 상태에서 도출되었는지 다시 한번 숙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책은 우리가 고등학교 때 배웠던 확률과 통계의 책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다. 조건부확률, 이항분포, 정규분포, 큰 수의 법칙 등 그리 어렵지 않은 내용(?)을 기반으로 통계를 인문학적으로 펼쳐내고 있다. 역시 통계라는 학문은 경제학과 인문쪽에도 그 한다리를 걸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고등학교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 중 조금 수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부교재로 권하고 싶다. 수리 논술에도 대단히 좋은 자료가 될 것이고 일차원적으로는 확률과 통계가 실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좋은 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언론에서 경제에 관한 각종 지표와 통계들을 가지고 보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이야기가 정확한 사실인지는 우리가 판단해야 한다. 단순하게 그들이 들려주는 통계의 숫자만을 가지고 그대로 그것이 사실이라고 믿어버리기 보다는 그 통계의 숫자가 나오기 전의 기준과 변수들을 판단해서 옳은 결과인지를 다시 스스로 검증해야만 우리는 통계의 숫자가 주는 오류에서 벗어나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