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잃어버린 이름, 조선의용군
류종훈 지음 / 가나출판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일투쟁이라는 말은 귀가 따갑게 들어왔지만 정작 그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것 같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조차 궁금하지 않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잃어버린 이름 조선 의용군>이라는 책은 바로 그러한 이유에 대해 어떤 반박보다는 실제 그 역사의 현장을 보여준다. 지금은 폐허가 되어버린 어느 곳, 아니 개발에 밀려 흔적조차 남지 않은 곳을 찾아 가면서 우리가 잃어버린 역사에 대해 조금씩 상기시켜준다. 한때 우리를 뒤흔들었던 좌우의 이념속에 묻혀간 우리의 조선 의용군들을 우리가 오늘 다시 꺼내어 우리의 역사에 오롯이 자리매김시켜야 할 이무가 있다.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광복군은 친일과 섞여 우리 나라에 자리잡았고 항일빨치산은 북한의 주축으로 자리잡았다. 그런데 조선 의용군은 이 이념속에 휘말려 남에서도 그리고 북에서도 대접받지 못하고 역사속에서 서서히 잊혀졌다. 그런 역사를 저자는 조금이나마 우리에게 되살리려고 노력한다. 중국의 한 시골에 뚜렷히 존재하는 그들의 역사와 흔적들이 저자를 환영해주고 있다. 책은 그들의 시작인 의열단에서 출발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전개된다. 우리가 잘아는 김원봉, 신채호, 김상옥, 이육사, 정율성 등의 이름과 행적이 소개되고 그들 속에 조선 의용군의 시작이 있다. 그들이 얼마나 중국이라는 타지에서 항일 운동을 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들이 책에 고스란히 적혀있다.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의 지원을 얻기위해 누구보다 열심히 일본 제국주의와 대항했던 이야기들 그리고 희생을 통해 그들이 만들었던 역사를 우리는 읽을 수 있다.


 저자는 우리에게 마치 그곳에 꼭 한 번은 갔다오길 바라는 심정으로 그곳의 위치와 찾아가는 법을 잘 알려주고 있다. 언젠가 지금 남은 흔적들도 사라져버릴 수 있기에 우리의 정부와 그리고 우리의 관심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도 이야기한다. 우리의 영토가 아닌 곳에 조선의용군의 흔적을 보존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우리가 모두 노력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가져오리라 생각된다. 언젠가 아이가 크면 역사교육의 일환으로 아이와 함께 책에 나온 일부라도 함께 다녀오리라는 다짐을 해본다. 이 책은 우리가 다시 상기시켜야 할 우리의 소중한 기억을 환기시켜주는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