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별글클래식 파스텔 에디션 14
루이스 캐럴 지음, 최지원 옮김 / 별글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책을 읽고 난 후에도 알 수 없다. 이 책이 왜 그렇게 유명한 책이 되었을까? 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어떤 재미도 느낄 수 없었다. 그렇다고 글의 구성이 아주 치밀해서 이런 연관이 있구나 하는 깨달음도 얻지 못했다. 내 독해 능력의 부족함은 차지하더라도 이 책이 주는 매력은 무엇일까? 글보다 오히려 그림에서 이 책을 읽어나가는 동기를 찾았다.

 

토끼를 따라 토끼굴로 들어가 만나게 되는 상상력의 세계에서 흰색토끼, 공작부인, 쥐, 도도새, 집채 만한 강아지, 파란색 애벌레, 개구리 하인, 모자장수, 퀸, 체이셔 고양이 등을 만나 겪게 되는 이야기이다. 여기에 각종동물과의 이야기, 애벌레와의 대화, 모자장수와 토끼와의 대화, 가짜 거북과의 대화에 크로켓 경기까지 여러 사건들을 주제로 이야기는 이어지며 결국에는 남가일몽의 이야기로 끝이 난다. 기발하고 신기한 상상력의 공간과 상황이 이어져 과연 상상력의 끝은 어디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앨리스 자신의 몸이 늘어나고 또 줄어들고 그리핀이나 도도새 같은 상상속의 혹은 멸종된 동물들을 등장시키고 카드게임의 카드들까지 의인화시켜 이야기의 재미를 더할려고 한 것은 호기심있게 보았다. 그러나 이야기중 왜 그렇게 전개되어야 하는지는 아직도 답을 찾지 못했다. 어찌보면 글 전반적으로 시니컬한 분위기다. 쥐 앞에서 고양이 이야기를 하는 앨리스, 애벌레와의 대화에서 전혀 이야기가 통하지 않아 화가 난 앨리스, 아들을 난폭하게 다루는 공작부인, 무엇인가 맘에 들지 않으면 다 사형에 처하겠다는 여왕까지 이야기는 매우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다. 당시의 사회 분위기와 관련이 있는 것일까? 이런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주었다니 상상력의 차원에서는 이해가 가나 내용면에서는 이해가 가지 않았다.

 

번역서라서 책의 원전이 주는 위트도 반감이 되었다. 소위 언어유희라는 부분이 많이 등장하는 것 같은데 번역이 되고 설명이 되다보니 그 재미를 찾을 수가 없이 설명으로 읽게된다.

 

나의 독해능력이 부족한지 이 책의 감동과 재미를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

 

 

앨리스의 말처럼 “무슨 소린지 하나도 모르겠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